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아동 pneumonia (폐렴) 사례연구 case study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 pneumonia (폐렴) 사례연구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Case 상황

II. 문헌고찰

III. 본론
1) 자료 분석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IV. 결론
1) 연구결과의 총정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정의
폐실질에 급성 염증이 발생된 것으로 항생제의 발달로 치료가 가능해졌음에도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 감염질환의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노년기의 가장 흔한 직접적인 사망원인이다.

폐렴의 원인은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고 다음으로 마이코플라스마균과 세균이 많다. 드물지만 진균, 원충, 리케챠, 클라미디어, 이물질이나 공해 물질, 알레르기 약물, 방사선, 흡인 등으로도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의 임상양상은 병원체, 아동의 연령, 감염에 대한 아동의 조직반응과 상해의 범위, 기관지와 세기관지 폐쇄 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원인은 임상병력, 아동의 연령, 일반적인 건강력, 신체검사, 방사선검사 및 임상검사에 의해 확인된다.

Ⅱ. 질병이해
① 원인 및 병태생리
-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 공기 여과, 흡입공기의 습화와 가온, 후두개 개폐, 기침 반사, 점액섬모 청결작용, IgA의 분비 및 폐포 대식세포의 방어 작용 손상 시 발생한다.
- 유발 위험요인
 의식 상태 저하: 기침반사와 후두개 반사를 억제하여 흡입성 감염 발생 (알콜 중독, 두부손상, 발작, 마취, 약물과용, 뇌졸중)
 기관내 삽관: 기침반사 억제와 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 공기 오염, 흡연, 상기도염, 노화: 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 영양장애: 림프구와 백혈구의 기능 변화, 구강인두 상주균의 증식
 그 외: 장기간의 부동, 만성 질환(만성 폐질환, 당뇨병, 심장질환, 암, 말기 콩팥질환), 소모성 질환, HIV 감염, 면역억제 약물(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암제, 이식 후의 면역억제제), 비위관이나 장관 영양, 상부기도 감염 등

- 폐렴균 침입: 3가지 경로
 흡인: 정상 비인두와 구인두의 상주균 흡인
 흡입: 공기 중 폐렴균이 호흡기도를 통해 흡입
 혈액: 신체의 다른 감염원에서 혈액을 통해 확산

- 병태생리
: 폐의 방어기전이 손상되어 원인균들이 하부기도 깊이 침입하여 염증이 폐 간질공간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발생한다.

 

참고문헌

김영혜 외 15명,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18
김영혜 외 15명,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18
안민순 외3: 아동간호학 현장실무역량중심실습지침서, 수문사, 2020
원장원(2010), 「지역사회획득 폐렴」, 가정의학회지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폐렴(소아)”,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 pneumonia (폐렴) 사례연구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