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Twin C/sec CASE 사례연구보고서 간호진단 4개/간호과정3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Twin C/sec CASE 사례연구보고서 간호진단 4개/간호과정3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대상자 관찰 기간 및 자료 수집 방법

2. 문헌고찰
1) 다태임신
2) 제왕절재술

3. 대상자 간호사정
1) 개인정보조사지
2) 건강력
3) 대상자 신체사정
4) 현재 산과력
5) 낙상위험사정
6) 욕창위험사정
7) 통증점수사정
8) 진단검사
9) 임상관찰
10) 산욕기 사정
11) 투여 약물

4. 간호과정
1) 의미있는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1) 급성통증
(2) 감염위험성
(3) 불안

5. 실습 소감

6.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 제왕절제술
1. 정의
제왕절개술이란 임신부의 배를 절개한 후 자궁을 일부 절개하고 절개 부위를 통하여 태아를 꺼내는 수술을 말한다.
제왕절개를 했을 때의 부작용이 정상 질식 분만에 비하면 크지만, 의술의 발달로 그 위험성이 현저하게 감소했다. 태아나 산모가 긴급한 사태에 이르렀을 경우는 오히려 가장 안전한 분만법이다.

2. 원인
1) 산모측 원인
· 태아 머리보다 골반 크기가 작은 경우
· 35세 이상의 노령 초산모
· 출산 전 양수가 터져 탯줄이 밖으로 나온 경우
· 기존에 제왕절개술을 한 경험이 있는 산모
· 유도 분만에 실패했을 경우
· 산모에게 당뇨나 임신중독증, 심장병, 고혈압이 있어 자연 분만이 어려운 경우

2) 태아측 원인
· 태아가 거꾸로 선 경우나 옆으로 누워 있을 경우
· 다태아 (선진부가 둔위인 경우)
· 분만 전 맥박이 정상이 아니거나 태아의 상태가 나빠져 사산의 위험이 있는 경우
· 태아가 너무 커 골반을 빠져 나오지 못할 때

3. 종류
1) 재래식 제왕절개
재래식 제왕절개 방식은 복부조직, 자궁체부를 수직절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의 적응증은 둔위, 거대아의 횡위, 전치태반, 방광과 자궁하부 유착이 광범위할 때 사용한다. 이 방식의 장점은 태아접근이 용이하고 태아만출에 소요시간이 짧다. 하지만 단점으로 출혈과 유착이 심하고 치유가 느리다.

2) 자궁하부 제왕절개
자궁하부 제왕절개는 자궁의 가장 얇은 자궁하부를 절개하여 분만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봉합이 용이하고 실혈량이 적고 수술 후 감염이 적고 장폐색의 위험성과 유착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자궁노출이 어려워 의료제공자들의 노련한 기술을 요한다.

4. 방법 및 순서
1) 마취
· 전신마취 : 환자가 정신을 잃고 전신이 마취되는 경우
· 경막외마취 : 배꼽 밑의 하반신만 마취되고 환자가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2) 복부(복벽) 절개
① 정중선 수직절개
산모의 배꼽 아래에서 치골 위까지 복부의 정중앙선을 따라서 수직으로 절개하는 방법
보통 응급수술, 아기의 빠른 분만을 원할 경우, 뚱한 여성 등의 경우에 많이 이용
② 반월형 횡절개
산모의 치골에서 손가락 두횐지 정도 위인 하복부를 초생달 모양을 횡곡선으로 절개하는 방법

3) 자궁 절개
① 하부 수직절개
현재는 태아가 횡위로 있거나 전치태반 등 특수한 경우 사용하는 방법
② 자궁하부 횡절개
대부분의 제왕절개 수술에 이용, 출혈이 적고 봉합하기가 쉬우며 다음 번 임신시 자궁파열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

4) 태아 분만
의사가 자궁절개 부위로 손을 집어 넣어 자궁 속에 있는 태아를 꺼낸 후 태아의 탯줄을 자르고 신생아 관리를 위하여 대기하고 있던 간호사에게 아기를 넘겨 줌

5) 태반 만출
자궁에 남아 있는 태반을 의사가 손으로 자궁내벽과 박리한 후 자궁 밖으로 만출

6) 자궁 점검
태아와 태반이 만출된 후 의사가 자궁을 점검하여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자궁 근육이 정 상적으로 수축이 잘 이루어져서 자궁근 이완성 출혈이 없는지 자세히 살펴봄

7) 자궁절개 부위 봉합
태아를 꺼내기 위해서 절개하였던 자궁절개 부위를 보통 2-3층으로 꿰매어 봉합

8) 복부(복벽) 봉합
복벽을 보통 복막, 근육층, 근막, 지방조직, 피부의 순서로 차례차례 꿰매어 봉합하여 원래 상태대로 재건함으로써 제왕절개 수술을 마무리, 전신마취의 경우에는 수술이 끝나는 시점에 맞추어서 마취과 의사가 적절하게 마취를 끝내고 환자를 깨움

 

참고문헌

[교과서]
수문사 제 10판 여성건강간호학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2020년
수문사 기본간호학1 개정판 송경애 외 2021년
수문사 기본간호학2 개정판 송경애 외 2021년
수문사 성인간호학1 9판 개정 윤은자 외 2021년
고문사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이충재 외 2021년
고문사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외 2021년

[사이트]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사진]
보험건강심사평가원 _ 다태아 임신율 추이 표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Twin C/sec CASE 사례연구보고서 간호진단 4개/간호과정3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