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Breast cancer 유방암 케이스(진단적, 치료적,교육적 간호계획) 간호진단 3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Breast cancer 유방암 케이스(진단적, 치료적,교육적 간호계획) 간호진단 3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문헌고찰
1) 문헌고찰 : 질환명, 정의, 원인, 증상, 치료, 간호

4.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3) 약물 요법
4) 의사 지시 사항
5) 우선순위
6) 간호진단
7) 간호진단 적용

5. 결론 및 제언

6.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서론
유방암은 유관이나 유선엽에서 발생하는 암으로서 전세계적으로 전체 여성암의 25.2%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암 중 발생률이 가장 높다. 우리나라는 여성암 중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암 (전체 여성암의 15.4%)이며, 매년 2만 명 이상이 새로 발생하여 지난 10여년 전에 비해 3배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현대 유방암은 자가 검진만 잘하면 조기발견을 할 수 있고 그만큼 생존율은 높아지고 예후도 좋다. 나도 한 여자로서 여성의 상징인 유방과 유방암, 유방절제술에 대해 더 깊게 알고 유방절제술을 했을 때 그 상실감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유방암 예방과 조기검진, 진단과 치료 및 치료 후 관리 프로그램을 더 깊이 알아보기 위해 유방암을 케이스로 선정하게 되었다.

2) 자료 및 방법
2021년 4월 12일부터 4월 23일까지 외과 병동을 실습하면서 breast ca. 환자를 case의 대상자로 선택하게 되었다. breast ca 에 대한 문헌자료를 통해 간호과정 적용시 필요한 기본적 지식을 학습한 뒤 EMR 자료와 환자관찰, 환자와의 면담, 간호사의 조언을 바탕으로 진단을 내린 뒤, 간호과정을 수행하는 본 case study를 진행하였다.

3) 문헌고찰
■ 문헌고찰 : 질환명, 정의, 원인, 증상, 치료, 간호
질환명
유방암 (Brast cancer)

정의
유방암은 유방에 비정상적인 조직이 계속 자라거나 다른 장기에 퍼지는 치명적인 병이며, 유방에 발생하는 모든 악성 종양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다.

원인
문헌조사
유방암의 위험요인은 호르몬 요인과 비호르몬 요인으로 나뉠 수 있다.

• 호르몬 요인
- 월경기간 지연(12세 이전의 빠른 초경, 55세 이후의 늦은 폐경)
- 경구피임약 복용
- 호르몬 대체요법
- 30세 이후의 초산
- 자궁내막암
- 유방암이 발생한 반대편 유방
- 양성 유방질환
- 다른 장기의 암(난소, 자궁, 대장, 내분비샘)

• 비호르몬 요인
- 유방암 가족력
- 면역기전의 저하
- 표중체중의 40% 이상 비만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 정보, (http://www.snuh.org)
한국유방건강재단 (http://www.kbcf.or.kr/index.do)
한국유방암학회 (http://www.kbcs.or.kr/)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윤은자 외(2019).성인간호학Ⅱ.수문사
원종순 외(2018).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현문사
충남대학교 대전지역암센터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Breast cancer 유방암 케이스(진단적, 치료적,교육적 간호계획) 간호진단 3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