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한국문화정리-여가와관광문화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한국문화정리-여가와관광문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한국의 여가문화
Ⅱ. 한국의 관광문화

 

본문내용일부

1. 여가(餘暇)의 개념과 변천
(1) 여가의 유래와 개념
가. 서구에서 여가의 사전적 의미
그리스어 (Schole)
√ 자기생활 공간으로부터의 자유, 해방
√ 조용함, 평화, 남는 시간, 자유 시간
√ 배움과 교양, 학식
※ 남다, 자유 → 어떤 구속과 의무, 강제로부터 자유로운 상태

라틴어(Licere)
√ 허락하다, 자유롭게 되다
→ 작업과 직업적인 활동으로부터의 ‘자유 상태’

우리말 (사전적)
√ 일이 없어 한가로운 시간

나. 여가의 정의
1) 고전적 개념
아리스토텔레스
마음과 정신의 수양
개개인의 상태, 조건, 습관, 재능
->여가를 존재의 상태로 접근
-> 여가자: 행복 (사색가, 명상가이며 동시에 즐기는 사람)

2) 자유시간
맑스, 아도르노, 마르쿠제
노동으로부터 자유로운 시간
일과 생존을 위한 기초적 욕구가 충족되고 남은 잔여시간
(Spare time)
개인이 자기결정권을 가진 자유재량 시간

3) 계급 특권
베블렌(T. Vevvlen)
게으른 부르주아의 소비욕과 사회적 구별 짓기로서의 과시욕에서 비롯, 비생산적 소비의 시간, 소비에 사용되어진 시간, 중요하지 않은 문제를
신중하게 추구하는 것, 『여가 계급의 이론』

<중략>

∴여가
→ 그 자체의 합목적인 즐거움, 기쁨, 보람을 목적으로 무엇인가를 하고 싶은 태도나 마음을 가지고서, 그것 자체를 위해 행하여지는 활동에 참여하는 시간

(2) 여가의 변천
원시시대부터 여가와 여가 활동은 존재했다고 볼 수 있다.
가. 원시 사회: 의식, 의례, 휴식을 취하는 시간 외에 여가를 위한 시간이 따로 존재하지는 않았을 것, 노동과 여가가 미분화
나.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 노동과 구별되는 자유로운 시간으로서의 여가
노예제에 기반을 둔 소수 특권층에 편중된 것.
(노예/하층계급: 올림픽 경기, 디오니소스 축제 참여, 제한적 여가)

 

참고문헌

한국소개 영상 (출처: 한국관광공사TV)
https://youtu.be/pYzX7cqK_JQ
환승여행 인천-서울 (출처: 한국관광공사TV)
https://youtu.be/5VxYrmnwQiA
서울관광재단
https://youtu.be/qQTrApy_xqc
서울 x BTS 콜라보 (출처: visitSeoulTV)
https://youtu.be/g1kWEq_a66o (조회수 3,640만회)
꼭 가봐야 할 인스타핫플 8곳 (출처: 고고몽, 조회수 220만회)
https://youtu.be/7M5bDZ1EPVQ
한국 관광의 별 (출처: 한국관광공사TV, ~ 3‘40“)
https://youtu.be/MOBD7g_73j8
한국 관광의 미래는? (출처: 한국관광공사TV)
https://youtu.be/pKBHDVH7mZc
한국문화관광연구원
https://youtu.be/641QCqoDTcw
대한민국 구석구석 (출처:@travelkorea8345)
한국관광공사와 지방자치단체가 추천하는 국내 여행지 소개 및 여행상품 추천.
https://youtu.be/sinusuaPkUs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한국문화정리-여가와관광문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