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연구방법론-논문쓰기 과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연구방법론-논문쓰기 과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0. 국문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가설
4. 용어의 정의

Ⅱ. 문헌고찰
1. 여성독거노인
2. 노인의 우울감
3. 웃음치료프로그램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Ⅳ.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4. 연구 진행 절차
5. 자료 수집
6. 자료 분석
7. 연구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Ⅴ.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동질성 검정
2. 가설 검정

Ⅵ. 논 의
1. 웃음치료프로그램이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Ⅶ.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Ⅷ. 참고문헌

Ⅸ. 부록

 

본문내용일부

국문초록
본 연구는 기관(○○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어르신들의 우울감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진 실험설계의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시흥시 거주 65세~80세 미만의 남녀독거어르신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이었다. 실험대상자는 2018년 3월 07일부터 2018년 5월 09일까지 매주 수요일에 50분씩 총 10회 웃음치료프로그램을 제공받았다.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한국형 단축 노인우울척도(GDSSF-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가설검정은 t-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웃음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우울감은 통제집단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웃음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우울감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14.259, p= .046)를 보였다.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독거노인은 노화에 따라 나타나는 신체적 질병에 대한 취약성으로 우울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우울감으로 인해 치매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독거노인의 우울감을 제거하기 위해 웃음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웃음치료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웃음치료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3. 연구 가설
제1가설: 웃음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우울감은 통제집단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4. 용어의 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독거노인, 우울감에 대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독거노인
이론적 정의 :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가족 없이 혼자 살아가는 노인을 의미한다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흥시에 거주하며 기관(○○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80세 미만의 독거노인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국립국어원(2010). 표준국어대사전. Retrieved Aug 30, 2011, from http://stdweb2. korean.go.kr/main.jsp.
권용철, 박종한(1989).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의 표준화 연구 제 1편: MMSE-K 개발. 신경정신과학, 28(1), 125-135.
기백석(1996).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과학, 35(2), 298-307.
김귀분, 석소현(2009). 노인의 우울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 197-206.
김년준(2008). 집단운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성완, 신일선(2006). 알츠하이머 환자의 삶의 질 평가에 대한 환자보고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연구방법론-논문쓰기 과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