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후두염)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8개 8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후두염)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8개 8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기간 및 방법
4. 본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사례선정 필요성 및 목적

본 케이스는 후두염(laryngitis) 환아를 대상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해 후두염
환아에게 어떠한 처치가 우선되는지 확인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해보고 환아의 상태, 반응을
평가하며 간호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탐구 해보고자 함이다.


Ⅱ 문헌고찰

01 후두염 (laryngitis)

(1) 질병의 정의
후두염(laryngitis)은 후두에 발생하는 모든 염증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감염성 원인과 비감염성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급성 후두염은 주로 상기도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공통적 증후군이다. 사실상 대부분의 급성 후두염은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을 동반한다.

(2) 질병의 원인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인플루엔자바이러스(influenza 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등 거의 모든 호흡기 바이러스가 급성 바이러스성 후두염과 관련이 있다. 주로 상기도가 바이러스 감염이나 이와 관련된 세균에 감염됨으로써 발병된다. 또 홍역, 수두, 성홍열 등과 같은 급성 전염병에 의해 발병되는가 하면 자극성 가스의 흡인과 같은 화학적 자극이나 무리한 발성과 같은 물리적 자극, 그리고 내시경에 의한 후두 외상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3) 질병의 증상 및 징후
기침, 후두 건조, 후두의 가려움, 이물감, 쉰 목소리가 특징적이며 목소리가 낮아지고 목소리가 잘 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다. 급성 후두염은 주로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콧물, 코 막힘, 기침, 인후통과 같은 상기도 감염의 증상 및 징후와 관련이 있다. 후두경으로 시진(視診)을 해보면 미만성 후두 발적, 부종, 성대주름의 혈관 충혈이 관찰된다. 또한 결핵성 후두염과 같은 만성적 후두염은 점막에 결절이나 궤양이 관찰되며 이러한 증상은 후두암으로 때때로 오진되기도 한다.

(4) 질병의 진단
해당 증상을 토대로 후두의 부종과 발적, 성대의 병적인 변화에 대한 이학적 검진을 시행한다.

 

참고문헌

이은희 외(2020),『NANDA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박호란 외(2020),『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현문사
최명애 외(2020),『임상약리학』현문사
양선희 외(2020),『제4판 기본간호학 Ⅰ,Ⅱ』현문사
이강이 외(2020),『건강사정』현문사
킴스온라인 : http://www.kimsonline.co.kr/
서울대학병원 의료정보원 : https://www.snuh.org/main.do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원 :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NANDA : https://nanda.org/
굿모닝병원 환자교육 병원 지침서.
굿모닝병원 낙상예방안내 교육자료.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후두염)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8개 8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