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 제왕절개 간호과정사례 케이스 스터디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여성간호 제왕절개 간호과정사례 케이스 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간호력
Ⅱ. 진단적 검사
Ⅲ. 투약(medication)
Ⅳ. 대상자 사례 기술 및 분석
Ⅴ. 간호과정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간호사례>
29세 여성 성ㅇㅇ씨는 38w+3 으로 임신출산력은 G1-T0-P0-A0-L0 , 3-4분 간격으로 진통있어 8월 1일 22시 분만위해 입원하였다. 임신 전 갑상선암으로 갑상선부분절제술을 받았으며 임신 중에도 synthyroid를 경구복용해왔다. 감기로 지속적으로 기침을 하고 산모 V/S 혈압 130/80 mmHg 맥박 77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7.1도로 측정되었으며 FHR은 145bpm이지만 후방후두위에 위치하였다. 8월 2일 03:40분 자연파막 되었고 양수색은 녹색으로 태변검출되었다. 지속적인 후방후두위로 인한 난산으로 전신마취 후 응급제왕절개술 진행하였으며 8월 2일 04:27분 3.61kg 태아 만출(1분 5분 모두 APGAR 10점)된 후 610g의 태반 만출되었다. 수술 총소요시간 33분이며 foley catheter와 IV PCA 적용중이다. 실혈량 약 750cc 측정되었으며 적색오로와 소량의 질출혈 관찰되었다.
8월 2일 05:00 병실 이동 후 산모 V/S 혈압 110/80mmHg, 맥박 81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7.1도 측정되었으며 수술부위 통증 (NRS 5점)과 피로 호소하였다. 수술부위 깨끗하나 거즈에 삼출물이 약간 묻어있었다. 8월 2일 12:30 “배가 너무 아파요. 약 좀 주세요”라며 우는 모습 관찰되었으며 NRS 5점으로 측정되었다. 자궁저부 높이와 수축상태 양호하며 17:00 BT 37.5도 측정되며 오한 호소하였다. 8월 2일 14:00 적색오로 배출되며 질출혈은 관찰되지 않고 수술부위 양호하며 NPO중으로 아직 gas out 되지 않았다. 대상자는 “감기가 안나으면 전 모유수유 언제 해봐요? 조리원에서 퇴원 후 혼자 모유수유할 생각하니 걱정되네요. 유축하는 것과 직접 수유하는 것과 차이가 있을 것 같아요”라며 한숨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간호진단>
1)수술적 분만과 관련된 급성통증
2)초산모의 첫 모유수유와 관련된 지식부족
3)수술적 분만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4)수술적 분만으로 인한 조직손상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5)수술적 분만을 위한 전신마취와 관련된 낙상의 위험

 

참고문헌

https://labtestsonline.kr/ : 대한진단검사학회
https://www.ultrasound.or.kr/education/info.php?ca=4 대한초음파의학회
http://guro.kumc.or.kr/info/examInfoView.do?BOARD_ID=S003&BNO=89 갑상선 기능검사
2. 여성건강간호학 1, 2 – 제5판, 박영주 (지은이), 현문사
https://j.kafn.or.kr/journal/view.php?number=12 응급실 입원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진단분석 -NANDA 간호진단 분류 이용-*
http://koreascience.kr/article/JAKO201321353487065.pdfUSN을 이용한 산모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 설계
http://khna.or.kr/bbs/linkfile/resource/khna_Pcare.pdf 통증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대한모유수유의사회. (2007.05.03.). 아기 질병과 모유수유. 대한모유수유의사회.
http://www.bfmed.co.kr/subView.html?cate=8&idx=786
간호실무 적용을 위한 간호과정, 퍼시픽북스, 박순옥 외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여성간호 제왕절개 간호과정사례 케이스 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