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모바일체에 대한 인식과 문제해결방안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모바일체에 대한 인식과 문제해결방안”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2. 다양한 모바일체의 양상
1) 줄임말
2) 초성을 사용한 모바일체
3) 야민정음

3. 모바일체의 효과와 문제점
1) 모바일체의 문제점
2) 모바일체의 효과

4. 모바일체의 개선방향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서론
문자로 표현하는 문어체, 음성으로 표현하는 구어체 중 모바일 채팅에 사용되는 표현법은 무엇일까? 음성 메시지를 녹음해 보내지 않는 한 모바일 채팅은 문자언어에 속하므로 문어체를 사용한다고 하면 되는 것일까?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그저 통화나 문자메시지만으로 소통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 되었다. 여러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한 수단은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상용화된 직후 인기를 얻어 아직까지도 많은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꾸준하게 사용하고 있는 카카오톡부터 시작하여 페이스북, 페이스북 메신저,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이 있다. 각각의 어플마다 사용하는 표현법 또한 단순히 문어체나 구어체 둘 중 하나로 구분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이모티콘, 해시태그, 움짤(움직이는 사진), 동영상 등 수많은 표현법들이 있는데, 이들에게서 찾을 수 있는 예전과는 다른 점이 있다. 표준어가 아니거나 표준어들을 다르게 해석하여 조합한, 이른 바 ‘모바일체’ 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모바일체는 기존의 언어체계와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모바일체를 보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이 보고서에서는 10-20대들이 사용하는 모바일체의 다양한 양상과 문제점, 그리고 그 해결방안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2. 다양한 모바일체의 양상
1) 줄임말
여러 종류의 메신저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빠른 의사 전달을 위해 줄임말을 사용한다. 줄임말은 사실 그리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아니다. United Nations 를 줄여 UN이라고 부르거나 기업의 인수합병을 의미하는 Merger & Acquisition 을 줄여 M&A라 칭하듯이, 특정 분야에서 자주 사용하는 긴 단어들을 줄여 말하는 것은 이미 널리 통용되고 있다. 이처럼 말을 줄여 쓰는 것 자체는 모바일체로서 최근에 나온 것이 아님에도 모바일체의 양상 중 첫 번째로 꼽은 이유가 있다. 줄임말은 모바일체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자주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모바일 채팅에서 줄임말이 자주 쓰인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로 ‘별다줄’ 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 ‘별걸 다 줄여 쓴다’라는 말의 줄임말로, 줄임말의 빈번한 사용을 비판하면서도 이 역시 줄임말이라는 모순점이 있는 단어이다. 다음은 현재까지 사용되는 줄임말들의 예시이다.

 

참고문헌

박선우한〮재영이〮지현, 「한국어 모바일 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태도」, 『어문론집』 62, 2015, 61-103쪽
이지용, 「새로운 인지방식의 탐색, ‘야민정음’ 현상의 의미와 가치」,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사전학회, 2018.2, 81-87쪽
조동욱이〮현경 ,「인터넷 상에서 쓰이는 통신 언어에 대한 분석 및 문제점 해결 방안」, 『한국콘텐츠 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1(2), 2003, 79-83쪽
유지윤, “문자메시지 ‘철자 파괴’가 언어구사력 높여 준다”, 조선일보, 2008.8.8
김현경, “솔까말 꽁냥꽁냥신만 , 암호 뺨치는 10대 신조어, 어른들은 멘붕”, 헤럴드 경제, 2013.4.19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모바일체에 대한 인식과 문제해결방안”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