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설씨의안, 보영촬요, 제리, 제학”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uL7pK/btsrNonAmxJ/5aF0L0SqrO57N5HFEbzuF0/img.png)
목차
1. 설씨의안, 보영촬요, 제리, 제학
본문내용일부
每服二錢, 水煎服。
매번 8g을 복용해 물에 달여 복용한다.
鱉甲飲子
별갑음자
治瘧久不愈, 脇下痞滿, 形容羸瘦, 腹中結塊, 時發寒熱, 名曰瘧母。
별갑음자는 학질이 오래되어 낫지 않음, 옆구리 아래에 속 답답함 그득함, 형용이 파리함, 배속에 결체한 덩어리, 때로 한열 발생을 치료하니 이름하여 학모라고 이름한다.
鱉甲(醋炙) 白朮 甘草 黃耆 白芍藥 川芎
식초로 구운 별갑, 백출, 감초, 황기, 백작약, 천궁
人參養胃湯
인삼양위탕
治外感風寒, 內傷生冷, 寒熱如瘧, 或嘔逆惡心。
인삼양위탕은 풍한사 외감, 날것과 찬 음식물 내상, 학질같은 오한발열, 혹은 구역하고 오심이 있음을 치료한다.
寒瘧加桂枝。
학성 학질에는 계지를 가미한다.
人參 厚朴 蒼朮 半夏(炮) 藿香 草果仁 茯苓(各五錢) 甘草 橘紅(二錢半)
인삼, 후박, 창출, 구우 반하, 곽향, 초과인, 복령 각 20g, 감초, 귤홍 10g
右每服二三錢, 薑七片, 烏梅一箇, 水煎熱服。
위 약재를 매번 8-12g을 생강 7조각, 오매 1개와 물에 달여 뜨겁게 복용한다.
桂枝麻黃各半湯
계지마황각반탕
治發熱, 自汗或無汗。
계지마황각반탕은 발열, 자한이나 혹은 땀이 없음을 치료한다.
桂枝 白芍藥 生薑 甘草(炙) 麻黃(各一錢) 杏仁(十箇, 炮去皮尖)
*粒의 원문은 箇이다
계지, 백작약, 생강, 자감초, 마황 각 4g, 구워 피첨을 제거한 행인 10개
右水一鍾, 大棗二枚, 煎四分, 食遠服。
위 약재를 물 1종지로 대추 2매와 달인 1.6g을 식후 2시간정도에 복용한다.
五苓散(方見五淋)
오림산 처방은 오림에서 나타난다.
小柴胡湯 大柴胡湯(二方見痙症)
소시호탕 대시호탕 2처방은 경병에 나타난다.
二陳湯(方見寒吐)
이진탕 처방은 한토에 나타난다.
大安丸(卽保和丸加白朮)
대안환 보화환에 백출을 가미한다.
補中益氣湯(方見虛羸)
보중익기탕 처방은 허리에 나타난다.
十味香薷飲(方見嘔吐乳)
십미향유음 처방은 구토유에 나타난다.
六君子湯 加味歸脾丸 加味逍遙散 異功散(四方見內釣)
육군자탕, 가미귀비환, 가미소요산, 이공산 4처방은 내조에서 나타난다
참고문헌
흠정사고전서 자부 의가류 32 설씨의안 보영촬요, 명나라 설기, 대성문화사, 페이지 241-248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설씨의안, 보영촬요, 제리, 제학”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양대 연극의 이해 기말 레포트 (0) | 2023.08.24 |
---|---|
글쓰기 ) 보고서 - 연구계획서, 선정주제 - 메타버스 플랫폼의 윤리적 문제점과 해결방안 (0) | 2023.08.23 |
모바일체에 대한 인식과 문제해결방안 (0) | 2023.08.23 |
코로나19와 유아보육 (0) | 2023.08.23 |
[노인복지론] 노인문제의 발생배경과 우리나라 노인복지 현황 및 발전과정 (0)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