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치과보존학 중 근관치료파트입니다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치과보존학 중 근관치료파트입니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근관치료의 정의
2. 근관치료의 절차
3. 근관치료 준비물
4. 근관치료의 단계적 과정

 

본문내용일부

1) 근관치료의 정의
근관치료는 흔히 신경치료라고 불리우며, 근관 내 감염이 된 치수와 혈관 등 남아있는 조직을 기계적, 화학적으로 제거하고 소독을 한다. 소독한 이후에는 제거된 근관과 치수강 내부를 가타퍼챠나 GP콘으로 밀폐하여 통증을 없애고, 근관이 다시 감염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2) 근관치료의 절차
1. 구강검사
2. 방사선 사진 촬영
3. 마취
4. 시술 부위의 방습
5. 시술 전 처치
6. 근관 와동형성(치수강 개방)
7. 발수
8. 근관장의 측정
9. 근관의 형성
10. 근관의 세척 및 건조
11. 근관 소독 및 가봉
12. 근관의 충전
13. 근관충전 후 수복
3) 근관치료 준비물
기본기구, 마취시린지, 리도카인 앰플, 러버댐 세트, 로우핸드피스, 하이핸드피스, 파일세트, 버세트, Root ZX, 룰러, 나이타이 파일, 엔진, 셀라인, NaOCl, 페이퍼 포인트, 멸균코튼팔렛, 케비톤, 스탑퍼, 알콜커튼팔렛, 카시피엑스, 알파, 베타







4) 근관치료의 단계적인 과정
1. 마취
- 치수가 완전히 괴사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마취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 마취에 쓰이는 기구는 마취용 시린지와 리도카인 앰플이 필요하다.



마취용 시린지
리도카인 앰플


2. 시술 부위의 방습
-

러버댐을 이용해 치료할 치아를 격리시킨다.

3. 시술 전 처치
-

구강 내의 교합압이나 저작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외상이나 파절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교합면을 삭제해 대합치와 닿지 않게 한다.
4. 근관와동형성(치수강 개방)
① X-ray 사진에서 치수실의 위치를 확인하고 라운드 버를 이용해 치수강의 천정을 뚫고 들어간 후 Endo-Z bur 혹은 Diamond bur를 이용하여 치수저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치수각이 남지 않도록 완전히 제거한다.
② 치수강 내에 치수가 존재하는 경우 라운드 버나 endodontic spoon ex-cavator로 제거한다. 이 때 치수강에 출혈이 있으면, NaOCl을 이용하여 치수강을 세척하여 변색을 막는다.

 

참고문헌

치과보철학
구글
네이버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치과보존학 중 근관치료파트입니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