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인쇄학] 목판 인쇄술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에 대한 분석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인쇄학] 목판 인쇄술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에 대한 분석”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1) 인쇄술의 필요성
2) 목판인쇄술?
3) 우리나라의 인쇄술은?
4) 목판인쇄술의출현
5) 목판인쇄의 장점/단점

2. 본론
1) 백제
2) 통일신라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인쇄술의 필요성
= 문자의 보급과 종이의 발명 등으로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책을 즉, 지식을 나누고자 하였 다. 그리고,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자신의 것을 널리 보급하려했고 원본을 중히 여기게 됨에 따라 인쇄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이의 발명
= 종이의 발명이 이루어짐에 따라 서적간행은 더욱 활기를 띠기 시작했고 훨씬 신속하고 용이하게 책을 만들어 내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즉, 종이 발명은 인쇄발달에 촉매 역할을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의 문자인 한자가 고조선 시대 이래로 조선왕조에 이르기 까지 우 리의 문자생활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고 한국 인쇄술의 발달과도 깊은 관련을 맺는다.

2) 목판인쇄술?
= 목판인쇄술은 목판을 사용하여 책을 찍어내는 인쇄방법이다.
나무에 글자를 외로 새겨서 인주나 먹을 뭍혀서 찍으면 글자가 나타난다. 이것이 목판인 쇄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 인쇄술이 발명되기까지에는 여러 가지 발명(종이, 먹 ,문자) 이 이루어지고 그 발명들이 합해져서 목판인쇄의 발판이 된다.
= 인쇄의 시작은 인장을 누르는 날인(捺印)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인쇄할 내용이 길어지고 많아지면서 넓은 판을 뒤집어서 문질러내는 방법으로 바뀌어 갔다. 또 손으로 쓰는 방법 은 정확도가 떨어지고 속도가 느린편 이어서 많은 부수를 단시간에 찍어 낼 수가 없기 때 문에 나무판에 새겨 여러 부를 찍어내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었다.
여기에 불교가 도입되고 경전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많은 양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목판 인쇄술이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결국 7세기 경에 시작된 목판인쇄는 이후 가장 전통적인 출판방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3) 우리나라의 인쇄술은?
= 목판인쇄술이 성행되기 전에는 책을 베껴쓰는 필사본을 매개체로 하여 기록문화가 전파 되고 발달되었다. 하지만 베껴쓰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그 시간을 아끼기 위한 방법을 고민하였을것이다.

 

참고문헌

국립진주박물관. (2004). 목활자로 보는 옛 인쇄문화. 진주: 국립진주박물관.
박문열. (2001). 금속활자장. 서울 : 화산문화.
손보기. (2000). 금속활자와 인쇄술. 서울: 세종대황기념사업회.
김창옥. (1999). 인쇄문화의 새로운 이해. 서울: 학연문화사.
한국국학진흥원. (2003). 인쇄문화와 목판의 세계. 서울: 한국국학진흥원.
박병선. (2002). 한국의 인쇄. 청주: 淸州古印刷博物館.
한국브리태니커. (2000). 한국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멀티미디어판 2000. 서울: 한국브리테니커회사.
두산세계백과사전. (2006). 두산세계백과사전 엔싸이버. 서울 : 두산동아
http://kin.naver.com/xfile/detail.php?d1id=11&dir_id=110104&eid=wi/1YK/kw5/Rte/EZI5I2oX15oBGcXZ8&qb=uPHGx8DOvOI=에서 2007.04.27 인출.
대한인쇄연구소. http://www.kpri.or.kr/
붓다뉴스. (2006). "초조대장경 '대반야경' 해외유출 우려". 2006. 2. 1. 인용 : http://news.buddhapia.com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인쇄학] 목판 인쇄술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에 대한 분석”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