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여성이주 관련 국제조약 및 활동에 대해 기술하시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U4Ta/btsrDDYmEiR/mgixByKK2dJfipXUgRiDM1/img.png)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주의 여성화(feminization of migration)
2. 여성이주 관련 국제조약
1) 국제인권법
2) 국제인권조약
3) UN난민조약
3. 여성이주 관련 국제 활동
1) 여성 외국인근로자의 보호
2) 여성의 다문화적 시민권
3) 결혼이민자의 법적 지위
4) 다문화가족지원법
4.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990년대 초 우리나라 농촌 지역은 혼인 적령기 층에서 남초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등 사업으로 국제결혼이 적극적으로 추진되면서, 1990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 간의 국제결혼으로 인해 국내거주 여성 결혼이민자가 급증하였는데, 이와 같은 국제결혼 붐은 종전에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현상이었다. 국제사회에서의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배우자의 출신지도 중국 등 기존의 일부 국가에서 다양한 국가로 확대되었으며, 특히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여성들의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이민이 크게 증가하였고, 여기에 더하여 노동이민 등으로 이미 국내에 들어와 일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와의 국제결혼도 증가하면서 결혼이민자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여성이주 관련 국제조약 및 활동에 대해 기술해 보겠다.
Ⅱ. 본론
1. 이주의 여성화(feminization of migration)
이주에 여성의 참여가 증가하는 현상을 ‘이주의 여성화(feminization of migration)’라 한다. 최근 수십 년간 세계적으로 여성이주자의 비율 자체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여성 이주의 양상과 이주여성의 역할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 여성 이주가 남성의 이주에 수반하여 이루어지는 등 남성 이주로부터 파생되는 현상이었다면, 오늘날 여성들은 가족구성원으로서보다는 보다 독립적으로 이주하며, 유입국에서의 취업비율도 높아지는 등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유입국의 사회·경제에 관여한다.
지난 25년 동안 국제 이주민은 거의 두 배가 됐고 여성의 이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국제노동시장에의 참여는 이주 원인과 효과 면에서 남성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가 간 노동이동의 50% 가까이 여성 이주민에 의해 이뤄지고 있는 현상이며 질적인 측면에서는 여성이 국가 간 이주에 있어서 남편을 따라 이동하는 동반이주민으로서가 아니라 여성 스스로가 주체적인 노동자의 신분으로 이주하는 취업이주민이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시아 지역 내주요 노동송출국인 필리핀,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등은 해외취업자 중60~90%가 여성이며 주요 노동 유입국인 대만과 싱가포르의 외국인 노동자 중 60% 정도가, 일본은 45%가 여성이다. 각 국가의 정책입안자들은 세계화와 이주를 통해 모국, 이민국, 이민자스스로 공존하는 정책을 도모하려 애쓰고 있다.
참고문헌
김태환, 「다문화사회와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집사재. 2015.
이선주 외,『세계화와 아시아에서의 여성 이주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여성개발원, 2005.
오장미경, “시민권과 젠더”, 『시민과세계』 제5호, 당대, 2004.
김연수, 「외국인 및 이민자 노동시장정책 - 현황과 과제」, 정책연구시리즈 2012-12, 한국개발연구원. 2012.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여성이주 관련 국제조약 및 활동에 대해 기술하시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쇄학] 목판 인쇄술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에 대한 분석 (0) | 2023.08.21 |
---|---|
노인소득보장에서 기초연금에 대한 변화과정을 정리하고 문제점과 대책을 기술하시오 (0) | 2023.08.21 |
생로랑의 라이센싱 (0) | 2023.08.18 |
[영화감상문] 식코(SICKO) - 의료민영화의 폐해와 현실을 숨김없이 드러낸 영화 - (보건의료제도가 국민에게 미치는 영황과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제도의 개선방향) (0) | 2023.08.18 |
직무태도와 조직행동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