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보고서

식품분석실험 레포트 - GC-MS를 이용한 미지시료 중 벤조피렌 정량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식품분석실험 레포트 - GC-MS를 이용한 미지시료 중 벤조피렌 정량”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

 

본문내용일부

1. Abstract
GC-MS를 이용한 미지시료 중 벤조피렌의 정량 실험은 벤조피렌 표준용액을 만들고, 표준곡선을 작성한 뒤 미지시료에 들어있는 벤조피렌의 농도를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실험에서는 먼저 100ppb 농도의 벤조피렌 표준용액을 20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Acetonitrile로 mess up하여 40,20,10,5 ppb 벤조피렌 용액을 제조했다. 그 후 vial에 1.5ml를 넣어 GC-MS로 측정하여 그 값을 이용해 표준곡선을 작성한다. 이후, 측정한 미지시료의 값을 대입하여 미지시료 내 벤조피렌의 농도를 구했다. 실험 결과 1~4조의 R2의 값은 각각 0.9973, 0.9974, 0.9975, 0.9973이 나왔다. R2의 값이 1에 가까운 것이 제일 정확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0.9975가 나온 3조가 가장 정확한 실험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미지시료의 농도는 1~4조 각각 14.934ppb, 14.996ppb, 14.783ppb, 14.927ppb 가 나왔다. 4개의 조 모두 약간의 오차가 나왔음을 알 수 있다.

2. Introduction
1) Benzo(a)pyrene
발암성 물질로 벤조피렌이라고 한다. 녹는점 179.9∼180.3℃인 황색 결정으로 끓는점 310∼312℃이다.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에탄올에는 조금 녹는다.
석탄타르 속에 존재하고 그 밖에 자동차의 배기가스, 담배 연기, 훈제식품 등에 매우 미량이 함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배기가스 속의 검댕 1g 속에 수십 μg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그 분석에는 먼저 하이볼륨에어샘플러 그 밖의 매진포집기로 모은 매연을 벤젠으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감압 농축한 다음에 관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여 365∼403nm의 광흡수, 또는 365∼403nm의 형광을 측정하여 정량한다.

2) acetonitrile
사이안화메틸이라고도 한다. 에테르와 같은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로, 분자량 41.05, 녹는점 -45℃, 끓는점 82℃이다.

 

참고문헌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1620&cid=40942&categoryId=32271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1157&cid=40942&categoryId=32280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1105&cid=40942&categoryId=32254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HPLC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98211&cid=60262&categoryId=60262
금종화 외 6명, 식품분석이론및실습 (2017년 7월 21일). 《HPLC의 구성 및 이론》. 지구문화사.
홍선표, 실용적 HPLC법 (2005년 4월 25일). 《이동상 용매》. 경희대학교 출판국
금종화 외 6인, 식품분석이론및실습 (2017년 7월 21일). 《HPCL의 장점》. 지구문화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식품분석실험 레포트 - GC-MS를 이용한 미지시료 중 벤조피렌 정량”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