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청소년의 사고(인식) 문화의 변화 양상 한 가지를 설명하고, 올바른 사고 함양을 위해 필요한 교육이 무엇이어야 하는지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시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RMHTR/btsnkL6EVS5/vv5YQikK4ShxDHThRw3NgK/img.png)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청소년의 사고(인식) 문화의 변화 양상 – 부동적 자동적 사고
2. 올바른 사고 함양을 위해 필요한 교육
1) 자기조절능력 함양 교육
2) 인성교육
3) 인간관계능력 함양 교육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청소년들의 사고의 특징을 살펴보면 현재 존재하지 않는 가능성에 대한 사고, 추상적인 주제에 대한 사고, 사고과정에 대한 사고, 다차원적 사고, 상대적인 사고를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아동에 비해 자신의 사고를 보다 잘 통제하며 자신의 사고를 타인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사고 특성이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하기도 한다. 내적 귀인의 증가로 인해 자기도취적 욕구가 매우 강하게 되고, 자신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갖게 된다. 이러한 인지적 사고과정에서 자기중심적이고 경직된 사고의 인지적 왜곡으로 인해 왜곡된 정보처리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청소년의 사고(인식) 문화의 변화 양상 한 가지를 설명하고, 올바른 사고 함양을 위해 필요한 교육이 무엇이어야 하는지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해 보겠다.
Ⅱ. 본론
1. 청소년의 사고(인식) 문화의 변화 양상 – 부동적 자동적 사고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s)는 어떠한 일이 일어났을 때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생각과 심상을 의미 하며, 어렸을 때부터 반복된 경험과 타인과 형성된 신념으로부터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자동적 사고는 사건에 대한 자신의 대처능력이나 행동 반응에 대해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이나 영상을 말하며, 개인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신념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이는 긍정적 차원과 부정적 차원으로 구성된다. Beck와 Emery(1985)에 의하면 자동적사고의 과정은 개인의 과거경험들이 추상화되어 축적된 인지적 구조, 즉 인지도식(cognitive schema)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인지 도식은 인생초기에 형성되어 성장하면서 강화 되는데 인지 도식이 개인의 긍정적인 과거경험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개인이 심리적 혼란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지만 부정적인 내용들로 형성 되었을 경우 심리적 문제에 매우 취약하게 되기 쉽다. 긍정적 자동적 사고는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자기 자신을 고양하고 미래를 희망적으로 지각하는 사고로서, 우울증을 판단하는 긍정적 자기관련 사고의 부재를 설명하는 가설에서 시작되었다.
참고문헌
권양이 (2013).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 박영사.
신승환 (2010). 지금, 여기의 인문학. 서울 : 후마니타스.
구미란 (2008). 청소년기 우울증상의 성차에 대한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은정 (2014). 자기자비와 자존감이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시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청소년의 사고(인식) 문화의 변화 양상 한 가지를 설명하고, 올바른 사고 함양을 위해 필요한 교육이 무엇이어야 하는지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시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권의 의미 알아보기, 5학년 1학기 2단원, 초등 사회 지도안 (0) | 2023.07.13 |
---|---|
수도권 매립지 연장 갈등 사례분석 - 정책옹호연합(ACF)모형을 중심으로 (0) | 2023.07.12 |
청도군 관광 단지 건축 프로젝트 가정을 바탕으로한 건설 경영 보고서 (0) | 2023.07.11 |
2세아의 영양 특징을 설명하고, 2세아의 영양관리방안을 논하시오 (0) | 2023.07.07 |
한국어 (대면/비대면)강의 참관일지 총 8회 (32쪽) (0) | 2023.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