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실습

뇌경색 질환 및 사례 보고서(케이스)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뇌경색 질환 및 사례 보고서(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일부

Ⅰ. 문헌고찰

1. 뇌경색
1) 정의
- 뇌를 관류하는 동맥에 협착 or 폐색이 일어나며 뇌 순환장애가 발생해 뇌의 혈류가 감소하여 뇌기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허혈성 뇌 혈관장애 or 동맥폐색성 뇌 혈관장애라고 하는데, 이를 통해 뇌에 일어나는 기능 장애를 뇌경색이라고 한다.

2) 원인
- 동맥경화증에 의해 병든 혈관에서 주로 발생하는 혈전은 심장에서 뇌로 가는 내경동맥 or 뇌혈관 중 어떤 곳에서든 발생할 수 있는데, 이 혈전이 혈관을 막거나 처음 형성된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 다른 혈관을 막는 것을 색전이라고 한다. 혈전이 심장 or 굵은 뇌동맥 등에서 떨어져 나와 말단부 뇌혈관을 막아서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말단부 혈관이 아주 좁아진 경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이 있는 경우 허혈성 뇌졸중이 생길 수 있다.

3) 증상
- 반신부전과 반신마비 : 반신마비는 뇌피질의 운동영역 or 추체외로의 손상으로 인함
- 실행증 : 손상받은 부분을 움직일 수는 있으나 지시에 따라 사용하지는 못함
- 실어증 및 구음장애
- 시력변화
- 실인증 : 시각, 촉각 or 기타 감각정보의 해석의 장애를 말함
- 연하장애
- 감각장애, 신체 반쪽에 대한 감각 소실, 이상감각, 근육 관절 소실 등
- 정서적 불안정
- 어깨 통증

<중 략>

간호진단
부적절한 소화와 관련된 영양 불균형
간호진단 정의
신체대사 필요치에 충족하지 못하는 불충분한 영양분 섭취
계획
단기 목표
대상자는 13일까지 regurge되는 양이 65ml까지 줄어든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20일까지 regurge되는 양이 50ml미만으로 줄어든다.
중재
- regurge가 되면 그 양을 측정하고 기다렸다가 나중에 식이를 다시 준다.
- 누워있기보다는 앉아있는 자세를 취해준다.
- regurge하고 1시간 뒤에도 regurge되는 양이 50ml가 넘으면 소화제를 주어 소화를 시킨다.

 

참고문헌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9
2021학년도 성인간호학실습Ⅲ지침서
2015~2017 NANDA 간호진단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뇌경색
드러그인포
약학정보원
You’re 우렁미 블로그, “진단검사(혈액검사, 소변검사, 대변검사) 정상수치, 목적 및 임상적 의의”, 2020.09.28.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뇌경색 질환 및 사례 보고서(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