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BSC의 의의 장단점 그리고 기업에 적용시 문제점과 해결방안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BSC의 의의 장단점 그리고 기업에 적용시 문제점과 해결방안”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BSC의 의의
1. BSC의 정의
2. BSC의 구현절차
3. BSC의 장*단점
4. BSC의 기업에 적용시 문제점 및 해결방안
5. BSC의 향후 해결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BSC(Balanced Score Card: 균형성과기록표)는 1990년대 초 미국 하버드 대학의 카플란과 노튼 교수에 의해서 발표된 전략경영관리 시스템(SEM:StrategicEnterprise Management)을 구축하기 위한 탄생하게 된 방법론이다. 현재 BSC는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75년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경영기법으로 인정받고 있고 미국 Fortune 지가 선정한 1,000대 기업 중에서 64% 이상이 BSC를 이미 도입했거나 도입 중에 있다고 밝혀지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IMF 직후에 국내 기업의 구조조정 및 경영혁신의 새로운 기법으로 도인이 된 후 이미 산업별로 선도 공-사기업에 도입하며 운영 중에 있으며 지금까지도 보급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추세로 밝혀졌다. 하지만 아무리 인기가 많고 좋은 방법인 BSC라 하더라도 타 기업의 경영기법들과 마찬가지로 무조건 시도한다고 해서 다 성공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우선 국내 기업에 적용하기에는 이론과 현실상의 거리감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BSC를 실제 국내 기업에 구현하기 위해서 여겼어야 할 현실적인 과제와 고려 사항이 무엇인지를 사전에 충분히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한 전문지식과 풍부한 경험이 준비가 돼있어야 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BSC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BSC 추진 담당자는 물론 회사의 모든 직원의 이해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BSC는 전통적으로 회계를 중심으로 한 경영관리기법이 지니고 있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혁신적인 방식으로 인정되어 현재 가장 각광받는 경영관리기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 말에 소개되고 알려지면서 대기업들이 도입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사기업들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및 공기업 부분에서도 BSC가 확대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BSC는 기업 경영을 전통적인 재무회계 중심에서 탈피하여 고객, 내부 처리, 학습 및 성장 측면의 다차원적인 균형된 관점에서 보려고 하는 개념이다.

 

참고문헌

현대임금관리론(최종태)-박영사
글로벌시대의 국제경영-한경사
경영학원론-시그마프레스
인적자원관리(임창희)-비앤엠북스
경영스케치-도서출판 청람
리더십의 이해-백기복
네이버 지식백과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BSC의 의의 장단점 그리고 기업에 적용시 문제점과 해결방안”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