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스타이렌과 MMA의 공중합(copolymerization) 결과보고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실험 날짜 및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
4. 실험기구 및 시약
5. 시약에 대한 조사
6. 실험방법
7. 기구 조작법
8. 실험결과
9. 고찰
10.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실험 날짜 및 제목
- 실험 날짜 : 2022년 11월 25일 금요일
- 실험 제목 : 스타이렌과 MMA의 공중합(copolymerization)
2. 실험 목적
- 스타이렌과 MMA를 공중합(copolymerization)함으로써 공중합을 이해하고 공중합체의 특징을 알아본다.
3. 이론
(1) 공중합 및 공중합체란?
- 공중합
: 고분자화합물을 만드는 경우, 한 종류의 단량체(모노머)만을 결합하여 여러 가지 성질의 물건을 만들기는 힘들다. 그러나 2종류 이상의 모노머를 여러 가지 비율로 조합시켜서 양쪽의 좋은 성질을 전부 갖춘 것, 또는 어느 쪽이든 한쪽의 결점을 없앤 것을 만들 수 있다.
공중합이란 이같이 두 종류 이상의 모노머를 동시에 반응시켜 중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고분자사슬은 두 종류 이상의 모노머가 섞여서 결합되어 있다. 공중합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합성고무의 스티렌-부타디엔공중합물,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공중합물 등이다. 플라스틱에도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공중합물, ABS 수지, 내부가소화 염화비닐과 같은 몇 개의 공중합물이 있다.
- 공중합체
: 공중합체(copolymer, 코폴리머), 공중합물은 공중합의 특성을 지니는 중합체로서, 하나 이상의 단량체종으로부터 파생된 중합체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합체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고분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반복 단위가 동일한 고분자는 단일 중합체(homopolymer)로 분류한다. 공중합체는 고분자 사슬에 반복 단위가 어떻게 배열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다음 사진과 같이 몇 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A) : 무작위 공중합체 (B) : 교대 공중합체 (C) 블락 공중합체 (D) 가지 공중합체
(2) 단계 공중합(Step copolymerization)
선형 단계 공중합은 ARB + AR’B 또는 ARA + BR’B + CR”C인 일반적 형태의 중합을 말한다. 크고 적절한 몰질량을 가진 공중합체를 단계중합으로 얻으려면 높은 반응도를 가져야 한다. 이렇게 되면 얻은 공중합체 내의 단량체 조성은 초기에 넣은 단량체의 조성과 같게 된다. 단량체들의 서로간의 반응성이 반복 단위 분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참고문헌
한국고분자학회, “고분자실험”, 자유아카데미 p.76~p.83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스타이렌과 MMA의 공중합(copolymerization) 결과보고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실험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한 GaN LED 반응기 설계 - 열전달 및 물질전달 (0) | 2023.06.27 |
---|---|
물리분석실험 FRET 결과 레포트 (0) | 2023.06.23 |
서울대학교 유기무기실험 - Grignard Reaction (4번째 실험) (0) | 2023.05.31 |
SBR 결과레포트 (0) | 2023.05.24 |
물리화학실험 어는점 내림을 이용한 분자량 측정 (0) | 2023.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