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뇌실내출혈 IVH 간호과정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 뇌실내출혈 IVH 간호과정”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2. 간호진단
(1)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문헌고찰 – 뇌실내출혈(Intraventricular Hemorrhage)
1. 정의
뇌척수액이 차 있는 뇌실 또는 맥락총(맥락얼기)의 혈관이 파열되어 뇌실 내에 혈액이 고인 상태를 말한다. 소뇌, 시상출혈과 미상핵의 다량 출혈 시 발생률이 높다.

뇌출혈이란 뇌를 둘러싼 3종류의 막(경막, 지주막, 연막) 사이에서 일어나는 출혈을 총칭한다. 출혈의 해부학적 부위에 따라 뇌에 생긴 뇌내출혈(ICH), 뇌막을 기준으로 두개골과 뇌막사이에 생긴 경막외출혈(EDH), 뇌막 중에서도 경막 아래에 생긴 경막하출혈(SDH), 지주막하공간에 생긴 지주막하출혈(SAH), 뇌실에 생긴 뇌실내출혈(IVH)로 나눌 수 있다.

2. 원인
원발성의 뇌실내출혈은 매우 드물다. 대부분은 동정맥기형이나 뇌동맥류의 파열, 시상부 출혈, 대뇌기저핵 출혈에 속박한다. 미숙아에게 많이 발병하며 뇌실막하 종자 바탕질에서 출혈이 시작되어 뇌실내까지 진행된다. 그리고 심한 경우 뇌실질까지 출혈이 진행될 수 있다.

대부분(약 75%)이 고혈압이 원인이다. 장기간 지속되는 고혈압은 뇌혈관에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이 촉진되어 뇌혈관벽의 탄력성 감소와 혈관 내압 상승으로 인한 뇌동맥류가 발생되며,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대량 출혈로 사망할 수 있다. 뇌출혈로 뇌조직이 압박되면 운동장애, 전신허약, 마비, 기억장애, 언어장애, 시력장애 등이 나타난다.

(1) 위험요소 : 초극소저체중 출생아, 산모의 진통, 주산기 가사, 소생술, 인공환기, 기흉, 폐출혈, 고혈압, 동맥관, 경련 등이 있다.
(2) 뇌혈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혈관 내 요인들 : 허혈/재관류(수액주사로 인한 급격한 용적 증가), 뇌혈류의 과도한 변화(인공환기 불일치), 뇌혈류의 증가(고혈압, 빈혈, 과탄산혈증), 뇌 정맥압의 증가(기흉)
(3) 혈관요인 : 실타래처럼 얽혀있는 비교적 큰 직경의 germinal matriax의 모세혈관
(4) 혈관 외 요인 : 불충분한 혈관 외 조직의 지지력, 과도한 섬유소 융해 활성도

 

참고문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년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2016년
박금주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2019년
유혜정, 간호학 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에듀팩토리, 2019년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 뇌실내출혈 IVH 간호과정”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