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응급실 er 절단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간호사례연구 양식
1) 서론
2) 문헌고찰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2.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3. 간호과정
1) 간호사정
본문내용일부
Ⅱ. 간호사례연구 양식
1. 서론
절단(amputation)의 경우 적용부위와 적응증이 광범위 하여 수술실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신체의 일부가 제거되는 것이므로 무엇보다 합병증 및 정서적 지지가 중요하다. 수술 전, 후 간호를 통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제거하도록 하여야 하고 환자와 가족들에게 수술 후의 적응에 대해 자세히 교육하여야 한다. 또한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위한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이처럼 신체적, 정서적, 교육적인 간호가 다양하게 요구되는 수술로써, 각각의 간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기 위해 수술 전, 후의 간호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였다.
2. 문헌고찰
1. 정의
절단(amputation)은 대상자의 생명과 안위를 위하여 병소가 되는 인체의 일부를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이다.
2. 원인 및 적응증
하지 절단의 흔한 원인은 하지의 말초혈관 질환이다. 당뇨병 및 만성 골수염, 심한 가스 괴저, 폐혈성 환부 등의 감염으로 인해서 절단이 시행되기도 한다. 외에도 악성 종양, 동상의 경우도 있다. 상지 절단의 흔한 이유로는 외상 등이 있으며 선천성 기형으로는 육손이 등이 있다.
3. 증상
신체의 일부를 상실한 절단환자들이 정상적인 인간중심의 사회체계 내에서 불구의 몸으로 적응하는 데는 난관이 있다. 절단으로 직업을 상실하게 되거나 가족관계나 사회적인 대인관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고 생활 속에서 육체적 불편감으로 인한 의존적인 삶 때문에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
4. 진단
① 절단(amputation)의 부위
일본의 경우 상지절단에서 손가락절단(수근 중수부절단 포함)이 78%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전완절단(외관절 이단 포함)이 10.5%, 상완절단(주관절 이단 포함)이 5.9%, 견관절이단이 0.6%, 견갑흉곽간 절단이 0.3%이었고, 하지절단의 경우는 하퇴절단(사임절단 포함)이 55.2%,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대퇴절단(슬관절 이단 포함)이 39.8%, 고관절 이단이 2.9%, 편측골반절단이 1.2%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www.druginfo.co.kr
임상메뉴얼-의학서원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응급실 er 절단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 에이쁠 폐렴 케이스 (0) | 2023.01.10 |
---|---|
아동간호케이스스터디 -Cellulitis (0) | 2023.01.10 |
간질 케이스스터디 (0) | 2023.01.09 |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심방세동) (0) | 2023.01.04 |
Stomach cancer(위암) case study 최종본 (0) | 202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