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분야

한국사 소논문 수상작, 현대사 영화에 대한 연령, 성별, 정치성향에 따른 중점 평가 요소 관찰 및 역사 영화의 특수성을 고려한 평가 기준 제안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한국사 소논문 수상작, 현대사 영화에 대한 연령, 성별, 정치성향에 따른 중점 평가 요소 관찰 및 역사 영화의 특수성을 고려한 평가 기준 제안”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및 연구 목적

Ⅱ. 선행 연구 검토
1. 현황
가. 현대사 영화의 논란
나. 현행 영화 평가 기준
2. 역사 텍스트로서의 역사 영화

Ⅲ. 탐구 계획

Ⅳ. 탐구 결과 및 해석
1. 연령에 따른 중점 평가 요소
가. 작가의식과 현실고증
나. 현실비판과 자긍심고취
2. 성별
가. 작가의식과 현실고증
나. 현실비판과 자긍심고취
3. 정치적 성향
가. 작가의식과 현실고증
나. 현실비판과 자긍심고취

Ⅴ. 연구의 한계점 및 의의
1. 한계점
2. 의의 및 결론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및 연구 목적
흔히들 영화는 현실의 거울, 사회의 반영이라고들 한다. 그러나 어떤 영화들은 새로운 힘과 생명을 갖고 다시 현실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영화를 보면서 무언가를 느끼고 영화의 메세지를 수용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의 논지나 작가의식, 정치적 입장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며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그런 의미에서 영화는 더 이상 ‘상영’되기만 하지 않는다. 특히 뉴미디어, 인터랙티브(쌍방향) 미디어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져가는 요즈음, 현실보다 허구가 더 쉽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요즈음, 역사 영화는 그 특성상 굉장히 독특한 사명을 갖게 된다.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3학년 1학기 한국사 교과 시간에 수업자료로 사용된 현대사 영화에 대한 감상이 학생들마다, 정치 성향마다, 연령마다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역사 영화, 특히 현대사를 다룬 영화들이 개봉될 때마다 다양한 신문사에서 다른 각도로 영화를 평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현대사 영화는 영화 자체의 완성도를 떠나, 항상 논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예술의 영역으로 여겨지는 일반적인 영화와 달리, 현대사 영화는 언제나 정치와 현실기술(記述)의 영역에 발을 걸치고 있다. 따라서 현대사 영화는 연령, 성별, 정치적 성향에 따라 그 평가가 판이하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로, 다음과 같다.
1. 연령, 성별, 정치적 성향에 따라 현대사 영화를 평가할 때 중점을 두는 요소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2. 현대사 영화의 특수성을 반영하려면 어떠한 평가 요소를 추가해야 할까?

Ⅱ. 선행 연구 검토
1. 현황
가. 현대사 영화의 논란
역사 영화는 언제나 논란의 대상이 되지만, 근현대사를 다룬 영화는 더더욱 극심한 논란의 대상이 되기 마련이다. 가령 극우 논객으로 유명한 조갑제(2015)는 광주항쟁을 다룬 역사영화 <화려한 휴가>를 “반군(反軍) 선동영화”로, <웰컴 투 동막골>을 “반미(反美) 선동영화”로 지칭하며 이런 영화들이 학생들에게 보여질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참고문헌

강성률 (2005). [문화로 역사 읽기 2] 영화로 보는 우리 역사 <웰컴 투 동막골>과 한국전쟁 -
민족의 이상향과 과도한 민족주의의 함정 -. 내일을 여는 역사(22), 285-292
강성률(2019). 역사 재해석과 영화적 재현에 대한 연구 : <덕혜옹주>, <나랏말싸미>를 중심으로. 씨네포럼(34), 211-239
교실에서 '총성 없는 좌익 쿠데타'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2015년 10월 12일).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5/10/12/*************.html.
김민정. (2005). 영화의 역사서술과 역사교육의 가능성. 역사교육, 94, 1-33
김지혜 (1997). 역사와 영화 영화로 역사 서술은 가능한가. 역사비평, 375-388
네이버 영화 . (2020년 8월 10일). https://movie.naver.com/.
류재형 (2012).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한국 민족주의적 특성. 한국언론정보학보, 116-137
박주현 (2010). 역사 재현의 수정에 대한 중등학생들의 이해. 역사교육, 113, 131-172
오동진 (2007). 영화여, 니들이 역사를 알아?. 오늘의 문예비평, 262-276
이다운. (2018). 대중영화의 역사적 사건 재현에 대한 고찰 - <택시운전사>, <1987>, <군함도>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96(), 281-308.
이하나 (2016). 역사영화를 매개로 한 역사비평의 가능성. 사학연구(121), 7-40
정종복 (2018). 역사영화 비판적 읽기 교수학습 방안. 역사교육연구(32), 193-243
진성철 (2012). 사극을 근간으로 하는 한국영화의 역사 재현에 관한 연구. 동서언론, 15, 91-113
한송희 (2019). 한국 재난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 2010년대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27(2), 98-166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한국사 소논문 수상작, 현대사 영화에 대한 연령, 성별, 정치성향에 따른 중점 평가 요소 관찰 및 역사 영화의 특수성을 고려한 평가 기준 제안”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