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결장암 문헌 고찰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결장암 문헌 고찰”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결장암의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적 증상과 징후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8) 예방
9) 예후

 

본문내용일부

1) 결장암의 정의

결장암이란 결장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최근 고 칼로리 고지방 위주의 서구식 식생활이 자리 잡으면서 이환율이 급격히 늘고 있다. 결장은 소장에 가까운 쪽에서부터 상행결장·횡행결장·하행결장·S상결장으로 나누어지는데, 암이 가장 잘 발생하는 곳은 S상결장이며, 이어 하행결장·상행결장의 순으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대부분의 결장암은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며, 이 외에도 림프종, 육종, 편평 상피암, 다른 암의 전이성 병변 등이 있다.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고 남녀 발생 비율은 비슷하다. 식사와 결장암의 관련성은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로, 이민 등으로 거주 지역이 변하면 유전적 차이에 상관없이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결장암의 발생률이 달라진다. 특히 높은 열량, 동물성 지방, 섬유소의 섭취 부족, 비만 등과 결장암의 발생이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원인
➀ 식생활 습관
식생활의 서구화로 육류 및 동물성 지방의 섭취가 늘어나면서 발생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동물성지방이나 포화지방이 많은 식사를 할 경우, 결장암의 위험도가 증가하며 돼지 고기, 소고기 같은 붉은 고기의 섭취가 결장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특히 비만도 결장암의 발병위험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➁ 유전적 요인
결장암이 포함된 전체 대장암의 5%는 유전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고, 전체 대장암의 약 15~20%는 유전적 소인과 관계가 있다.

➂ 염증성 장 질환
염증성 장 질환은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질병이 있을 때 결장암 발병위험은 4배에서 20배까지 상승하고, 이로 인한 결장암은 일반 결장암보다 20~30년 일찍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➃ 육체적 활동 수준
최근 결장암 발생률이 높은 서구 국가를 중심으로 수행된 연구들에 따르면, 노동량이 많은 직업군에서 결장암의 발생 위험이 감소하며, 일관 시간뿐 아니라 여가 시간에서의 육체적 활동량의 증가도 결장암의 발생 위험을 낮춘다고 한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471~478p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결장암 문헌 고찰”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