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우울장애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정신간호학 실습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우울장애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정신간호학 실습”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실습 내용 및 학습 내용
1) 간호과정을 적용한 사례연구
2) 간호과정
3)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활동계획
4) 대상자의 퇴원 간호 계획
5) 출처

2. 실습 성찰 (느낀점)

 

본문내용일부

<간호진단>
: 대인관계 능력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1) 주관적자료
- “제 말을 들어주는 사람은 없는 것 같아요.”
- “병동 사람들과 말하는게 쉽지 않은 것 같아요.”
- “복도에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좀 불편해요”
- “병동에는 친한사람이 없어요.”

2) 객관적자료
- 과거 대인관계 경험에서의 않좋은 기억이 있음.
- 항상 혼자 다니며 병실에서도 친한 환자가 없음.
- 말 걸면 대답은 하는데 먼저 말 걸지 않음.
- 다른 환자들과의 대화가 거의 없음.
- 집단활동(사람이 많은 곳)에서 더 말을 하지 않음.
- 참여한 프로그램에서 같이 참석한 환자들과 말을 하지않고, 그 후 참석하지 않음(1회참석)

3) 단기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 같은 병동 환자들에게 먼저 말을 걸 것이다.
-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집단활동(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 이다.

5 )간호계획
① 사회적 활동 양상을 사정한다.
- 과거 사회적 활동에 대해 사정한다.
: 치료적의사소통을 이용한 대상자와의 면담에서 정보를 얻는다.
- 평소 병동에서의 생활(행동, 특징)을 사정한다.
: 활동정도(프로그램 참여 정도)
- 다른 환자와의 상호작용정도를 사정한다.
: 대화정도, 대화할때나 어울릴때의 모습을 보이는가를 사정한다.

② 대상자의 옆에서 함께 있어주며 대화를 매 듀티마다 한다.
- 틈틈이 대상자에게 찾아가 얼굴 비추며 자주 대화 시도한다.
- 진실된 마음으로 환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입장을 충분히 배려한다.
- 대화 내용 : 점심식사는 맛있게 했는지, 어제 밤에 잠은 잘 잤는지 안부를 물으며 대화를 이끌어간다.

③ 프로그램 활동을 참여시킨다. 이때 대상자가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해준다.
- ex)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병동사람들과 만나는 기회를 만들고 대화를 해보는 방법은 어떠세요?”
- 대상자가 간호사와의 일대일 관계에서 편안함을 느끼게 된 후에 집단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하고 프로그램을 하는 동안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참고문헌

정신건강간호학 제6판 / 현문사/ 이미형 외/ 2019년
성인간호학 상.하 / 현문사/ 황옥남 외/ 2017년
약학정보원 www.health.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우울장애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정신간호학 실습”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