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재료조직실험]신소재공학과-재료조직실험 최종 보고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실험 이론
1)광학현미경 원리
2)로크웰/비커스 경도기 원리
3)사용된 강의 성질 특성, 응용분야
4)탄소강에서 탄소 조성비/합금원소 첨가량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
5)열처리(어닐링, 노멀라이징, 퀜칭, 템퍼링)
2.실험 방법
1)그라인딩
2)폴리싱
3)에칭
4)미세조직관찰
5)경도측정
3.실험 결과-경도값
4.결론
1)탄소조성 효과 분석
2)열처리 된 샘플 분석
3)동일 강종에 대한 열처리 효과 분석
4)탄소조성에 따른 합금강 분석
5)동일 탄소조성 샘플에 대한 합금 첨가 효과 분석
본문내용일부
1. 이론적 배경
(1) 광학현미경 원리
현미경은 눈으로 볼 수 없을 만큼 작은 물질을 관찰하기 위한 도구이다. 광학현미경은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관찰되고 반사 방식에 의해 조작된다.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는 볼록렌즈를 사용한다. 초점거리가 짧은 대물렌즈를 물체 가까이에 두고 1차로 확대해서 생긴 실상을 초점거리가 긴 접안렌즈로 다시 확대해서 보는 원리이다. 상이 맺히고 확대하는 것은 물체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가 조금만 변해도 바른 상을 맺지 못하게 된다. 대물렌즈의 초점 밖에 물체를 놓으면 대물렌즈에 의해서 확대된 실상이 만들어 진다. 이렇게 1차로 확대된 실상은 초점거리가 긴 접안렌즈의 입장에서 봤을 때 물체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체는 우리 눈에 가까울수록 더 잘 보이지만 일정한 거리 보다 더 가까이에 오게 되면 오히려 물체는 더 크게 보이거나 그 물체의 상이 정확하게 맺힐 수 없기 때문에 흐릿하게 보이게 된다. 그래서 우리 눈에 물체를 가장 잘 인식할 수 있는 거리를 명시거리라고 하고 보통 250mm이다. 대물렌즈로 인해 1차로 확대된 실상은 명시거리 안쪽에 맺혀서 잘 볼 수가 없다. 그래서 볼록렌즈를 이용해서 상을 뒤쪽으로 보낸다. 그러면 뚜렷한 상을 볼 수가 있게 된다. 즉 물체를 명시거리 안쪽으로 당겨서 확대된 크기의 실상을 다시 볼록렌즈인 접안렌즈를 통해 뒤쪽에 상을 맺히게 하여 우리는 확대된 허상을 또렷하게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로크웰 / 비커스 경도기 원리
로크웰 경도기는 여러 종류의 스케일이 사용된다. 그 이유는 한 가지 스케일 만으로는 강한 재질부터 연한 재질까지 측정하기가 어렵고 시편의 재질, 경도 등에 따라 적당 압자와 하중을 조합한 것이 더 적절하게 경도 측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꼭지각이 120도+-30에 선단부의 곡률반경이 0.2+-0.02mm인 다이아몬드 콘, 1/16 1/8 1/4 1/2인치 직경을 갖는 강구, 초경합금 볼과 같은 압입자로 시험편의 표면에 기준하중으로 누르고 다시 시험하중을 가해 시험편에 생긴 압착 깊이를 통해 경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재료과학과 공학/ William D. Callister , David G. Rethwisch 지음/ 시그마프레스/2015.03.03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재료조직실험]신소재공학과-재료조직실험 최종 보고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실험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석화학 기기분석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실험 보고서 (0) | 2024.12.20 |
---|---|
동식물분류학실험_협각아문 다지아문 관찰 (0) | 2024.12.10 |
유전체학(genomics), 전사체학(transcriptomics), 단백질체학(proteomics), 대사체학(metabolomics)과 같은 오믹스 (0) | 2024.12.03 |
전자공학응용실험 - 다단증폭기 예비레포트 (0) | 2024.11.29 |
[일반화학실험] 기체 상수 R의 측정 (0) | 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