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분야

서양철학 논술교재3((헬레니즘과 중세철학)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서양철학 논술교재3((헬레니즘과 중세철학)”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목 차
3. 로마시대(~106p)
●로마는 도대체 어디에서 나온 나라인가?
●헬레니즘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
1)스토아학파
●로마가 세계사에 길이 남을 대제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인가?
2)에피쿠로스학파
3)회의주의학파
4)신(新)플라톤주의학파

4. 서로마의 몰락(중세의 시작)(~108p)
●로마의 멸망을 재촉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스토아철학의 이율배반
●게르만 민족의 이동이 유럽사회에 그렇게 큰 지각변동을 일으켰던 이유는 무엇인가?

5. 서로마의 부활(~112p)
●십자군전쟁
●십자군전쟁을 통해 환생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6. 동로마의 멸망(1453년/중세의 끝)(~125)
●중세의 철학
1)교부철학(2∼8세기)
2)스콜라철학(9∼14세기)
●아무리 들어도 잘 이해되지 않는 중세의 보편논쟁은 무엇인가?
●중세철학(교부철학+스콜라철학)은 아래와 같이 도식화

교재 학생용(발문)(~128p)
교재 교사용(해설)(~133p)

 

본문내용일부

●역사(歷史) part
1. 로마가 지중해를 장악하고 그를 발판으로 오리엔트로 진출할 수 있었던 전쟁은?
포에니 전쟁이다. 이 전쟁에서 로마와 카르타고는 3번 격돌한다. 1차전(기원전 264년∼241년)은 로마의 승리로 끝났고, 이때 시칠리아를 점령하고 첫 번째 속국으로 만들었다. 2차전(기원전 219년∼202년)도 로마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이 전쟁에서 그 유명한 카르타고의 한니발이 알프스를 넘어 로마시를 쳐들어갔지만, 로마의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는 바다를 건너 카르타고의 심장부로 들어가서 카르타고를 마음껏 유린했다. 로마는 이 전쟁에서 이베리아에 이르는 지중해 서부의 패권을 장악했다. 마지막 3차전(기원전 149년∼146년)에서도 로마는 완벽한 승리를 거두었다.

2. 헬레니즘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
헬레니즘을 처음으로 사용한 인물은 19세기 독일역사학자인 드로이젠이었다. 그는 로마•게르만 두 요소의 복합을 로마니즘이라고 부르는 데 착상하여, 그리스·오리엔트 두 문화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질적 변화를 일으키면서 새로 태어난 문화를 헬레니즘이라 불렀다.

3. 로마가 대제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인가?
바로 “스토아 철학”이라고 하는 강인한 사상에 있었다. 먼저 스토아철학에 따르면, 이 세상일은 숙명적으로 결정되어 있다. 이미 운명은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죽고 사는 것도 두려워할 것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스토아사상으로 무장된 로마의 군인들은 제 목숨보다 명예를 소중히 여겼다. 다음으로 스토아철학에는 인간을 자연과 일치시켜 모든 인간은 같다고 하는 세계시민주의의 이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로마라는 세계제국에 어울리는 도덕사상이었다. 이것은 스토아철학의 숙명론과 더불어 로마의 세계화에 절묘하게 맞아 떨어져 로마가 세계 초강대국으로 성장하는 데 크게 일조했다.
15. 중세철학을 암흑기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대철학을 이끈 것이 이성과 로고스라면, 중세철학은 기독교신앙과 교리를 체계화하고 설명하는 일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 고대철학이 자연과 우주의 질서와 나의 관계에 대한 시기였다면, 중세철학에서는 신과 나의 관계가 그 핵심이 된다. 따라서 중세는 이성의 암흑기라고 할만한 것이다.
22. 중세 보편논쟁이란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해보라.
보편논쟁이란 한 마디로 보편이 실재하는가(실재론) 실재하지 않는가(유명론) 하는 논쟁을 말한다. 이것은 중세철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화두였다. 왜냐하면 중세의 근간이 되는 가톨릭교회의 존폐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두 가지 주장이 있다.
첫째 실재론-보편(Catholic)이 각각의 개체에 우선하여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스콜라철학 초기에 우세했다. 안셀무스가 대표적이다.
둘째 유명론-보편은 단지 이름뿐이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실제 존재하는 것은 각각의 개체일 뿐이다.
여기에서 보편은 본래 신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당시 사회에서는 가톨릭교회(또는 교황)를 뜻했다. 개체는 일반성도라고 말할 수 있다. 중세 말기에 갈수록 일반성도의 존재감이 부각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곧 스콜라철학의 붕괴를 암시하는 것이었다.

 

참고문헌

저자는 철학 전공자로서, 다수의 철학서적들을 참고했습니다.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서양철학 논술교재3((헬레니즘과 중세철학)”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