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분야

문화콘텐츠 산업론_관심 있는 키워드의 최근 동향 (웹툰)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문화콘텐츠 산업론_관심 있는 키워드의 최근 동향 (웹툰)”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웹툰의 의의
2) 웹툰의 비즈니스
3) 웹툰의 동향
4) 웹툰 사업에 따른 문제점
5) 웹툰의 보급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최근에 문화의 다양성과 산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콘텐츠들이 제작되고 상품화 되고 있다. 굿즈라는 이름으로 드라마, 영화, 만화 등이 히트를 하고 난 후 상품으로 제작, 판매가 되는 것을 자주 목격하였다. 이러한 것은 문화가 발달하고 특정한 상품과 자기만의 제품을 원하기 때문이다. 이것과 더불어 내가 조사하고자 하는 웹툰을 바탕으로 하는 드라마들도 제작되어졌다. 이때 굿즈 상품은 더 활발하게 판매되는 현상을 목격할 수 있다. 다음 본론에서는 웹툰에 관한 것과 최근 동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웹툰의 의의
① 정의
웹(온라인)에서 보여주기 위하여 그린 만화를 말한다. 출판된 만화를 스캔해 보여주는‘뷰어’,‘스캔 만화’와는 다르다. 네이버, 다음 등의 각종 플랫폼 매체에서 연재(連載)되는 디지털 만화를 말한다. '한국에서 만들어진 단어이고, 해외에서도 한국에 유래한 디지털 만화 형식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자리 잡았다.

어원은 World Wide Web(웹) + Cartoon(만화)의 두 단어가 조합되어 2000년 8월 8일 천리안에서 처음 도입한 조어였다. 용어 생성 당시 한국은 다른 나라와는 다르게 애니메이션 만화나 만화책을 구분하지 않고 뭉뚱그려 cartoon이라고 말하였다. 그래서 comic보다 cartoon이 널리 알려져 용어의 정립이 편하였다. 외국은 인터넷 만화를 통칭하는 단어에 "웹코믹(Webcomic)"으로 말하였다. cartoon이란 단어를 루니툰 같은 애니메이션 만화나 그 만화의 캐릭터, 또는 신문에 실리는 적은 컷의 만평을 의미한다. comic은 만화책을 의미하는 comic book의 준말로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와 다르게 사용하고 의미를 둔 외국에 비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크게 차이를 두지 않은 점 때문에 더 발전할 수도 있었다.

한국 업체들은 외국에 진출하고 해외 작가들이 연재하는 웹툰이 많아져 웹툰은 한국에서 만들어진 예술 형태로 꼭 한국인이나 한국에서 만든 작품만을 뜻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만화애니메이션사전, 2008. 12. 30., 김일태, 윤기헌, 김병수, 설종훈, 양세혁
전자 신문 숫자로 보는 만화산업 김제이 2016, 06,23
독서신문 코로나19로 웹툰-웹소설 폭발적 증가... 2020년 출판통계 서믿음 기자 2021.05.03.
다큐인사이트 한국은 어떻게 거대한 웹툰 제국을 완성할 수 있었나? '웹툰 제국 의 탄생' 22, 2, 6
MBC 뉴스데스크 [집중취재M] 차세대 주력산업 웹툰의 무한 확장 - 드라마 영화 음악 NFT까지 2022, 5, 25
웹툰가이드 도를 넘어선 심각한 웹툰 불법복제 2017, 12, 05
웹툰가이드 작가를 향한 '불법러'들의 사이버 테러, 이제는 침묵하지 말아야 할 때 임선주 기자 2021, 07, 19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문화콘텐츠 산업론_관심 있는 키워드의 최근 동향 (웹툰)”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