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국어사개설] 6. 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국어사개설] 6. 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006. 후기 중세국어

 

본문내용일부

< 6. 후기 중세 국어 >

▣ 개관

(1) 후기 중세 국어 시기: 14세기~16세기 (조선 왕조의 초기 200년)

(2) 15세기 중엽의 국어
1) 훈민정음 창제
2) 19~20세기의 교체기
① 훈민정음의 원리와 원형에 대한 연구
② 국어의 역사적 연구 시작
3) 국어사 연구에서 각별한 주목의 대상이 됨.
4) 문자사 중심의 연구에서 언어사 중심의 연구로 관심의 초점이 이동됨.
5)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문헌은 국어의 모습을 전체적으로 제시하는 최초의 자료임.

(3) 훈민정음 창제의 의미
1) 문자 체계의 수립에 그치는 것이므로 중세 국어의 전기와 후기의 경계를 짓는 사건은 X
2) 언어에 미치는 영향은 한계가 있음.
① 당시 중앙어가 정음에 의해서 표기됨.
② 정음 문헌의 간행이 중앙어를 전국 공통어로 발전시키고 보급시키는 데 공헌했을 것으로 추정함.
③ 이 시기에는 문헌의 전파가 매우 제한되어 그 공헌은 매우 적을 것으로 보임.

(4) 『조선관역어』
1) 중국인이 간행한 어휘집
2) 『계림유사』와 유사한 성격임. → 전기 중세 국어로 처리할 만함.
3) 언어의 특징은 정음 문헌과 전반적으로 일치함. → 후기 중세 국어로 보는 것이 타당함.

(5) 정음 문헌의 간행 (15·16세기)
1) 중앙의 간행물
2) 초기 문헌의 간행처: 언문청(정음청), 간경도감
3) 현저한 동질성을 보임.
4) 당시 상류 계급의 중앙어를 반영함.
5) 당시 문헌의 대부분이 언해임.
① 한문의 번역문이 갖는 독특한 문체를 보임.
② 언해 이전에 구결을 통하여 독법을 확정함.
③ 『석보상절』: 비교적 자유로운 문체
④ 『번역박통사』: 일상 회화
⑤ 당시의 생생한 국어의 현실을 보기 어려운 일면이 있음.

[1] 후기 중세 국어(1-1)

1. 자료(1)

(1) 15세기 자료(Ⅰ)
1) 『조선관역어』
① 문헌적 가치
- 중국인이 편찬한 어휘집
- 훈민정음과 거의 동시대의 국어를 훈민정음이 아닌 다른 문자로 표기함.

 

참고문헌

이기문 | 태학사 | 2006.08.22 | 240 페이지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국어사개설] 6. 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