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신생아 황달 케이스 neonatal jaundice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신생아 황달 케이스 neonatal jaundice”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신생아 황달

Ⅱ. 대상자 사정
1) 대상자 간호력
2) 전반적 건강상태
3) 가족사항
4) 질환 및 입원에 대한 반응과 적응

Ⅲ. 간호사정
1) 신체사정
2) 투약기록지
3) 진단적 검사 및 특수치료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
1) 정의
혈액 속의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여 피부에 빌리루빈이 축적되고 피부와 눈 흰자위의 색이 노랗게 변하는 것

1. 생리적 황달
생리적 황달은 출생 후의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만삭아에서는 대개 생후 2일부터 8일까지 나타나고 미숙아에서는 생후 14일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으며, 대부분은 별 다른 치료 없이 사라지게 된다.

2. 병적인 황달
생리적 황달보다 더 심한 황달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 황달이 출생 당일부터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15mg/dL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다. 이런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2) 원인과 병태생리
-생리적(발달적 요인) 미숙
-모유 수유
-빌리루빈의 과도한 생성(예: 용혈성 질환, 생화학적 결핍, 담도 폐쇄)
-과잉 생성되지만 분비는 저하된 상태(예: 패혈증)
-질병상태(예: 갑상선저하증, 갈락토스혈증, 당뇨병 산모의 아기)
-과잉 생산을 가져오는 유전적 요인(미국인 원주민, 아시아인)

1) 빌리루빈의 대사 과정
몸 속에 존재하는 빌리루빈은 물에 작 녹지 않는 ‘불포함 빌리루빈’과 물에 잘 녹는 ‘포함 빌리루빈’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황달은 이 두 가지 종류의 빌리루빈 중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모두가 체내에 축적되어 발생한다.

① 적혈구 속에 들어있는 헤모글로빈은 헴과 글로불린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명을 다한 적혈구는 비장이나 골수,
간 등에서 파괴되는데 이때 헤모글로빈에서 헴이 분리되어 나옴
② 헴은 대사 과정을 거쳐 불포함 빌리루빈으로 전환됨
③ 불포함 빌리루빈은 혈액을 따라 간으로 이동함
④ 간에서는 효소의 작용에 의해 불포함 빌리루빈으로 전환됨
⑤ 포함 빌리루빈은 간세포를 빠져나와 담관으로 배출됨
⑥ 담관으로 배출된 포함 빌리루빈은 담즙의 형태로 소장과 대장을 거쳐 대변으로 배출됨

 

참고문헌

박은숙, 박인숙, 박호란, 신희선, 김은경(2014), 아동간호학 (상), (하), 서울:현문사
김금자,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정정숙(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현문사
의약품안전정보팀, 「소아에 대한 의약품 적정사용 정보집(전문가용)」, 식품의약품안전처, 2011
Druginfo, http://www.druginfo.co.kr/
국가건강정보포털, “신생아황달”, 2010-03-02, , 2016-12-28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신생아 황달 케이스 neonatal jaundice”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