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효소 활성 분석”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CKNfp/btsFEZmsVNU/JpfGBTmrXBVKszIDqRfJ2k/img.png)
목차
1. Abstract
2. Intro
3. Materials and Methods
4. Data and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s
본문내용일부
1. Abstract
효소는 생명체의 물질대사에 필요한 요소로,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이다. 본 실험은 효소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온도, pH, 기질의 농도를 변화시킬 때 시간에 따른 반응물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비교하여 해당 결과가 나오는 이유에 대해 고찰하기 위한 실험이다. 기질의 농도에 따른 효소의 반응 속도 실험을 통해서 Michaelis-Menten equation과 Lineweaver-Burk plot을 그리고 반응의 최대속도와 Km 값을 구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온도 조건이 달라지는 경우 37 ℃에서, pH는 7.3 조건에서, 기질의 농도는 400 μM일 때 반응속도가 높게 나타났다. 각각 최적의 온도와 pH에 도달할 때까지 반응 속도가 증가하다 최적 조건에 도달한 뒤에는 반응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질 농도에 따른 효소의 반응 속도 실험같은 경우는 Michaelis-Menten equation 그래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양이 아니고 Lineweaver-Burk plot의 값이 추세선과 차이가 많이 나는 등의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실험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보이고 반복실험을 통해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2. Intro
효소는 생명체 내에서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단백질 촉매이다. 효소는 기질과 결합해서 효소-기질 복합체를 만드는데 반응의 activation energy를 감소시켜서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한다. Campbell, Urry, Cain, Wasserman, Minorsky & Reece(2020), 캠벨 생명과학, 11th ed, 바이오사이언스출판, pp.103-106
activation energy란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의미한다. 즉, 효소-기질 복합체에서 transition state로 전환하는데 일요한 에너지를 의미한다. 효소- 기질 복합체는 효소의 active site에 기질이 결합한 상태인데, 생성물을 빠르게 만들기 위해서는 효소-기질 복합체를 만들어서 반응을 진행해 activation energy를 감소시키다. 기질은 효소의 active site에 결합해서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즉, active site에서 기질의 결합과 반응이 일어난다.
참고문헌
Campbell, Urry, Cain, Wasserman, Minorsky & Reece(2020), 캠벨 생명과학, 11th ed, 바이오사이언스출판, pp.103-106
Dimri, G. P., Lee, X., Basile, G., Acosta, M., Scott, G., Roskelley, C., Medrano, E. E., Linskens, M., Rubelj, I., Pereira-Smith, O. (1995). “A biomarker that iden-tifies senescent human cells in culture and in aging skin in vivo.” Proc.Natl Acad. Sci. USA92, pp. 9363–9367.
David L. Nelson, Michael M. Cox & Aaron A. Hoskins(2023), 레닌저 생화학, 8th ed, 월드사이언스, pp.188-194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효소 활성 분석”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실험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물리실험2 < 전류저울 > (0) | 2024.03.12 |
---|---|
[일반물리학실험 레포트] 자유 낙하 (0) | 2024.03.11 |
식품가공학_유기산 및 침채류 (0) | 2024.03.07 |
[서울시립대] 전자전기컴퓨터설계실험2 / Lab03(예비) (0) | 2024.03.04 |
인천대학교 전자기학실험 AC_Circuit 과제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