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분야

심리 검사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심리 검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슬픔에 대한 감정이입’ – 정의와 관련개념
2. 표본 시행 절차 계획
3. 문항 분석 및 선정 절차
4. 타당화 절차 계획
5. 부록
6.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연구의 목적은 ‘특정 대상이 겪는 슬픔에 대한 감정이입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감정이입이란 그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타인의 감정 안에(within) 자기 자신을 이입하는 것이며(Langfeld 1967), ‘타인의 감정적 상황과 상태에 일치되는 것’을 의미한다(Eisenberg & Strayer 1987). 현대의 다각화된 학문영역에서 Eisenberg & Strayer(1987)는 감정이입을 ‘다른 사람의 감정의 경험 속에 들어가 그것을 경험하는 것’ 즉 다른 사람의 감정 속에 자신이 흡수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감정이입은 자동적이며 무의식적으로 공감대상의 감정(emotion)표현을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 공감대상의 감정을 공유하는 것(Lawrence 1987)이며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인지적 공감과 달리 타인의 감정을 대리적으로 경험하고자 하는 것이다 (노정식, 노현진 2009). 자동적이며 무의식적으로 공감대상의 감정(emotion)표현을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 공감대상의 감정(emotion)을 공유하는 것 즉, '사람에 대한 감정이입'이란 상대의 상황이나 행동, 반응 등을 통해 자신도 모르게 대상을 자신과 동일시하여 그 사람의 감정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최낙환, 임아영 2009).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감정이입 중에서도 ‘슬픔’이라는 특정한 정서에 대한 감정이입을 측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슬픔에 대한 감정이입’이란, 고통스러운 슬픔을 느끼고 그 슬픔을 표출하고 있는 타인을 보았을 때, 자신도 모르게, 혹은 본의 아니게 타인과 자신을 동일시하여 슬픔을 느끼는 것이다. 이때, 감정이입을 겪은 사람이 느끼는 슬픔의 강도는 그 감정의 원래 주인이 느끼는 슬픔의 강도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포괄적인 감정이 아닌 ‘슬픔’이라는 특정 정서에 주목하는 이유는, 슬픔이 자신을 도와달라는 사회적 신호를 보내는 기능이 있다는 이론에서 비롯된다. 슬픔의 표현은 자신의 주변에게 고통을 알아달라는 일종의 신호이며, 그에 대한 상대방의 감정이입은 일체감을 불러온다 (최현석 2011). 즉, 슬픔에 대한 감정이입이 상대가 보낸 사회적 신호를 받는 행위라는 점에서 사회적 관계의 형성과 유지의 척도가 된다.

 

참고문헌

노정식, 조현진 (2009). “인지적 동일시와 감정적 동일시의 상호작용 효과를 이용한 기부금 조성 전략”. 대한경영학회지, 22(3), 1651-1677.
최낙환 & 임아영 (2009). “영화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감과 감정이입의 드라마적 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0(3), 243-271
최현석. (2011). “인간의 모든 감정”. 서해문집.
최효인 (2004).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과 도움행동”.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32-34
Bailey, P. E., & Henry, J. D. (2008). Growing less empathic with age: Disinhibition of the self-perspectiv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3(4), P219-P226.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Eisenberg, N. and J. Strayer(1987), “Critical Issues in the Study of Empathy,” in Empathy and Its Development, Ed. Nancy Eisenberg and Janet Stray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6.
Fodor, J.A. (1987). Psychosemantics: The problem of meaning in the philosophy of mind. Cambridge, MA: MIT Press.
Freud, S., (1985) [1904]. Psychopathic characters on the stage. In: A. Dickson (eds.), Pelican Freud Library, 14: Art and literature London: Penguin.
Langfeld, H. E.(1967), The aesthetic attitude, Port Washington, NY: Kennikat.
Lawrence, K. (1987). Prosocial motivation: Is it ever truly altruistic?. ADV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0, 65.
Reniers, R. L., Corcoran, R., Drake, R., Shryane, N. M., & Völlm, B. A. (2011). The QCAE: A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3(1), 84-95.
Silvera, D., Martinussen, M., & Dahl, T. I. (2001). The Tromsø Social Intelligence Scale, a self report measure of social intelligence.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2(4), 313-319.
Vossen, H. G., Piotrowski, J. T., & Valkenburg, P. M. (2015).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 Measure of Empathy and Sympathy (AM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74, 66-71.
Walker, H. M., Severson, H., Stiller, B., William, G.,Haring, N., Shina, H., & Todis,B. (1988). Systematic screening of pupils in the elementary age range at risk for behavior disorders: Development and trial testing of a multiplegaiting model. Remedial & Special Education, 9(3), 8-2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심리 검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