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분야

몽골과 한국의 세계관 이해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몽골과 한국의 세계관 이해”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의 중요성

Ⅱ. 본론
1. 세계관이란?
2. 몽골인의 세계관
1) 자연 숭배
2) 샤머니즘
3) 티베트 불교
4) 유목문화
3. 한국인의 세계관
1) 무속의 영향
2) 불교의 영향
3) 유교의 영향
4) 천주교의 영향
5) 그 외 한국인에게 영향을 준 것들
4. 기독교 세계관
1) 기독교 세계관이란?
2) 기독교 세계관 연구
3) 기독교 세계관의 특징들: 그 관점의 특성들을 중심으로
4) 기독교 세계관의 기본 원리
5) 기독교 세계관의 주요 개념들
6) 기독교적 세계관을 방해하는 것들
5. 효과적인 몽골 선교를 위한 접근

Ⅲ. 결론

 

본문내용일부

1. 연구 목적

선교(mission)는 ‘보내다’ 또는 ‘파견하다’라는 라틴어 동사 ‘mittere’에서 유래된 말로, 명사형 missio는 '내보냄'(sending out)을 의미한다. 그런 맥락에서 선교는 하나님으로부터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부름을 입은 사람들이 그 목적의 성취를 위하여 보냄을 받는 것이다.

정리하면, 선교란 ‘예수 그리스도에게 전혀 충성하지 않고 있는 자들에게 문화적 장벽을 너머 복음을 전하는 것이며, 그들을 일깨워 그리스도를 그들의 구주로 받아들여 교회의 책임 있는 구성원이 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복음전도와 정의실현을 위해 일하며,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처럼 땅 위에서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이광순. 이용원, 「선교학개론」, pp. 18-20.).

이처럼, 선교는 궁극적으로 그 사람이 하나님의 사람, 즉 그리스도를 마음에 모시고 하나님께서 원하시고 바라시는 방식대로 세상을 보고 그렇게 살아가는 사람을 만드는 일일 것이다.

몽골 선교가 시작된 지 30년이 지났다. 초기 몽골의 교회는 몽골 전체 인구 중 4~5%의 복음화율을 보이며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그 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하여 2010년대에 들어 와서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몽골 기독교가 이러한 상황을 맞이하게 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우선은 선교사들의 철수 및 선교지 변경 등으로 그 수가 많이 줄어든 요인이 있을 것이고, 몽골의 교회가 영향력 있는 목회자를 많이 배출하지 못하고 있는 환경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또한 물질적으로 몽골교회가 목회자를 재정적으로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기에 목회자가 전적으로 목회에 헌신할 수 없는 환경과 맞물려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영적인 요인이다. 몽골 교회가 복음을 전하고 그리스도의 제자를 키워서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는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다 해야 하는데 이러한 사명을 감당하는 교회가 많지 않은 것 같다.

 

참고문헌

이광순. 이용원, ‘선교학개론’
양희송, ‘세계관 수업’, 2018, 복 있는 사람
안점식, ‘선교학적 종교연구 방법론에 관한 고찰’, 2015, GMF출판사
양승훈, ‘기독교적 세계관’, 1999, CUP
알버트 E. 그린, ‘기독교 세계관으로 가르치기’, 1998, CUP
이승훈, ‘몽골 세계관과 세계관의 변혁’, 2021, 울란바토르.
안정훈, ‘한국인의 세계관과 이질문화간 선교, 2020
박원길, ‘몽골의 문화와 자연지리’, 2001
이안나, ‘몽골 민간신앙 연구’, 2010
장훈태, ‘진리논단’, 1999
이동주, 아시아 종교와 기독교‘, 1998
유원수, ‘몽골 고원의 유목전통과 현실’, 2012
이안나, ‘금기를 통해 본 몽골의 민속’, 2007
김기현, ‘한국 교회의 예배와 생활’, 1984, 양서각
김정준, 한국교회 갱신론의 반성, 1945, 기독교 사상
이훈구, 한국 전통 종교와 한국 교회‘, 1991, 연합 선교 교회
아브라함 카이퍼, ‘삶의 체계로서의 기독교’
발터 하이시히(Walther Heissing), ‘몽골의 종교’, 1999
데.체렌소드놈, 이평래 역, ‘몽골 민간 신화’, 2001
센덴자빈 돌람, ‘몽골 신화의 형상’, 2007
다. 어트거니 푸레브, 도르지 반자로프, ‘몽골 흑샤먼 연구’, 2014
라. 베.린첸, ‘몽골 샤머니즘의 기원과 발생’, 1959
반드락츠 낸딩체첵, ‘몽골 전통문화의 정치적 성격’, 2000
마. 체.달라이, ‘몽골 샤머니즘의 역사’, 1959
마르꾸 제링, ‘티벳불교권 선교’, 2003
하이시히, ‘몽골의 종교’, 2003
에스 프룹자브, ‘몽골 불교사’, 1978
돌고룬 체데브, ‘몽골 불교사’, 2003
기독교신보, 773호, (1989, 1, 4,)
조선일보의 여론조사 <2011년 한국인이여 행복하라>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몽골과 한국의 세계관 이해”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