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정신간호학]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 진단3개, 과정1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hw7n/btsETplkpIb/UeH7eGlkL6FKEC9L7Axd40/img.png)
목차
Ⅰ. 문헌고찰
Ⅱ. 사례기반근거에 관련한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정의
조현병이란 최소 6개월 동안 지속되는 정신병적 증상으로 옛날에는 정신분열증이라고 불렸다. 조현병에는 조현정동장애, 망상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조현양상장애,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조현형 성격장애 등으로 나뉜다.
- 망상
- 환각
- 와해된 언어
- 극도로 와해된 또는 긴장성 행동
- 음성증상
증상
양성
- 망상이나 환각, 와해된 사고, 괴이하고 와해된 행동 등을 포함하는 증상
- 정상 기능이 지나치게 과다하거나 왜곡되어 나타난 증상
(정상적인 기능의 왜곡 또는 과잉)
- 없어야 하는데 있는 것
- 양성증상은 치료에 잘 반응한다
- 환각 (가장 흔한 양성증상)
:환청, 환시, 환취, 환촉, 환미
- 망상
: 과대망상, 허무망상, 피해망상, 신체망상
음성
- 정상기능이 감소하거나 상실되어 나타나는 증상
- 감퇴된 감정표현
(감정의 범위나 정도의 장애)
- 무언증
(사고나 말이 빈약하거나 내용이 없음)
- 무의욕증
(목적지향적 행동을 시도하거나 유지X)
- 무쾌감증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거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흥미를 상실)
-있어야 하는데 없는 것
- 대표적인 음성증상 :
사회적 위축
정서적 둔마 (가면같은 표정)
무언어증
간호중재
조현병으로 진단 받은 환자의 약 20~50%에서 자살을 시도했고, 10%정도가 자살했다.
자살한 환자들의 10%가 급성 정신병적 상태였거나 만성 우울상태였다. 따라서 자살 사정이 이루어 져야 한다. 의료진이나 다른 환자들을 향한 공격행동 위험에 대해서도 안전을 고려해야 한다.
간호 사정으로는 신체적 건강과 신체기능 , 영양, 투약, 물질 사용을 사정하고 심리적 영역으로는 정신상태와 외모, 기분, 언어, 환각, 먕상, 와해된 의사소통, 인지손상, 기억력과 지남력 등을 사정해야 한다.
[조현병 DSM-5 진단기준]
진단기준
A. 핵심 증상 관련 기준 : 다음 증상 중 둘 (혹은 그 이상)이 1개월의 기간(성공적으로 치료가 되면 그 이하) 동안 상당 부분의 시간에 존재하고, 이들 중 최소한 하나는 (1) 내지 (2) 혹은 (3)이어야 한다.
참고문헌
박현숙 외,(2021),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드러그인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정신간호학]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 진단3개, 과정1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간호 실습 gambling addiction 도박중독 케이스 (0) | 2024.02.15 |
---|---|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진단5개, 과정2개 Case Study,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0) | 2024.02.15 |
성인간호학 Rotator cuff tear. Rt. Case study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0) | 2024.02.13 |
[성인간호학(ICU) 실습] 지주막하출혈 케이스(subarachnoid hemorrhage, SAH),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급성통증) (0) | 2024.02.13 |
항암치료 환자 CASE STUDY (0)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