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환경”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Kkeyd/btsEM1fvxLW/eSvb6dRtQovxKCXX90iJq1/img.png)
목차
1. 인식론적 신념의 개념
2. 인식론적 신념의 연구 관점
3.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
4. 인식론적 신념 발달과 학습환경 설계
본문내용일부
1. 인식론적 신념의 개념
- 지식의 본질, 앎의 기원, 앎의 과정에 대해 개인이 가지는 신념
- 지식의 본질에 대한 신념과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 대한 신념
- 지식과 앎의 본질에 대한 신념체계
2. 인식론적 신념의 연구 관점
1) 인지발달 단계 관점
- 인식론적 신념은 분리될 수 없는 단일 차원으로 구성
- 개인의 인식론적 신념은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단계 간 전이를 통해 발달
-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인지 발달 단계 모형 Perry(1970) 인식론적 발달 모형
< 중 략 >
3.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
1)인식론적 신념과 교수
- 지식과 학습에 관한 신념은 자신이 갖고 있는경험과 지식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과정에도 영향을 미침
- 교육 현장에서 교수자들이 인식론적 신념을 반영하여 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음
- 구성주의적 교수 신념을 가진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다양한 교수 전략을 사용, 학습자의 개념을 변화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효과적인 교수 전략 동원
- 교수자의 학습자 중심, 구성주의적 교수 신념이 수업에서 교수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학습자 참여형 학습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학습환경 조성
- 특정한 방향으로의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은 부적절하며 불가능하다는 맥락적 관점
-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은 교수자-학습자-맥락-지식-인식 도구 간 관계속에서 발생하는 역동적인 변화 상태
- 학습자 스스로 지식 구성 과정에 참여하며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인식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환경이 이를 지원
2)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
-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은 학습 태도, 과제 수행 상의 끈기, 독해 능력, 추론, 학업 성취, 비구조화된 문제 해결 능력, 지식 통합 능력 등에 영향을 미침
- 학습자 특성 변인으로서의 인식론적 신념은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학습 변화를 이끌어 내는 역할
- 교수학습 활동의 결과로서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도 가능
참고문헌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 32-42.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2015).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5 판). 교육과학사.
조규락, 조영환 (2019). 문제해결과 학습 디자인 - David H. Jonassen 교수님의 연구를
되돌아보며. 학지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환경”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사회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 사회과학] 중앙정부 조직개편과 기능조정에 관한 고찰 (0) | 2024.02.14 |
---|---|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0) | 2024.02.14 |
청소년기관, 청소년시설 방문하여 기관의 운영, 제도적 근거, 주요프로그램, 시설평가, 방문소감 작성_부평구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방문 보고서 (0) | 2024.02.13 |
식품의 융복합산업(6차 산업)의 성공 사례 분석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 (0) | 2024.02.13 |
아동성범죄 (0)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