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여성 실습 자궁근종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본론
1) 진단을 위한 검사
2) 임상 병리 검사
3) 수술 후 최종 진단명
4)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5) 투여 약물
6) 수술 후 간호
7) 간호과정에 의한 사례연구 보고서 – 2개 이상의 간호과정
2. 문헌고찰
1) 병태 생리
2) 임상소견(증상…) 진단과정
3) 치료
4) 간호, 예후
본문내용일부
1. 처방된 진통제는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통증을 확인해 중재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2. 환자가 통증이 심할 때 눌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 통증에 따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3. 주기적으로 체위를 변경하여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줄 수 있고, 해당 체위는 복부 내 압력 증가를 막아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4. 인지- 평가 체계적 전략으로써 긴장을 감소시키고 경~중증도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5. 수술 부위를 지지해 통증을 경감시켜주고 지혈 효과가 있다,
6. 통증은 주관적 자료이므로, 대상자의 표현을 신뢰해야 한다. 통증이 해결 불가능한 것으로 인지할 때, 통증에 대처하는 것을 포기하거나 상실감을 경험할 수 있다.
1. 빠른 보고를 통해 조기에 통증 조절을 위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2. 적절하게 IV PCA를 사용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통증을 조절해 통증에 따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고,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3. 교육을 통해 대상자가 통증 조절 능력을 갖추고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이는 엔돌핀 수치를 높이고 약물적 치료의 효과를 높인다.
4. 시야 확보를 위해 주입한 이산화탄소 가스로 인한 횡격 신경 자극으로 견갑통이 나타날 수 있다.
5. 통증을 참는 것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말로 표현하여 중재받음으로써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중 략>
증상이 없는 경우가 절반 정도 되고,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자궁근종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① 덩어리 촉지: 하복부에서 덩어리 촉지 또는 하복부 팽만감이 느껴진다.
② 이상 자궁 출혈
- 월경 과다, 부정 자궁 출혈, 부정과다 출혈
- 특히 점막하근종의 부정과다 출혈
③ 만성 골반통: 하복부 중압감, 월경곤란증 및 성교통
④ 압박감
- 방광 압박시 빈뇨, 배뇨곤란
- 직장 압박 시 변비 증상, 배변통
- 하대정맥, 장골정맥 압박 시 하지의 부종과 정맥류
- 신경간 압박 시 등이나 하지로 퍼지는 통증
⑤기타: 월경과다로 인해 혈색소가 15~20% 정도 감소되어 빈혈 초래
참고문헌
여성건강 간호 교과 연구회,『제 10판 모성 간호학- 여성건강 간호학 Ⅱ』, 2020, 수문사.
드러그 인 포, https://www.druginfo.co.kr/, 2021.10.30.
서울대학교 병원_ 의학 백과사전, 자궁근종,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19/3/6.do, 2021.10.30.
서울아산병원 메디컬 칼럼, http://www.amc.seoul.kr/asan/healthstory/medicalcolumn/medicalColumnDetail.do?medicalColumnId=28579, 2021.10.30.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자궁근종,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2021.11.02.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여성 실습 자궁근종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im Fatime Sanogo 산후출혈 case (0) | 2022.11.25 |
---|---|
모성간호학 실습 임신오조증 CASE (0) | 2022.11.24 |
조현병 대상자 case study (0) | 2022.11.23 |
여성간호학 자궁선근증 CASE STUDY & 자궁선근증 간호과정 & 자궁선근증 문헌고찰 (0) | 2022.11.21 |
COPD 케이스 (0) | 2022.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