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조현병 대상자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대상자 사정
2. 임상적 진단
1) 의학적 진단명 및 정의
2) 임상심리검사 6가지
3. 치료약물 (화학명, 효능, 효과, 투여방법 및 용량, 부작용, 금기)
4. 자아방어기제
5. 간호진단(5개) 및 간호과정 (1개)
본문내용일부
Ⅱ. 건강력
1. 현병력
1) 입원당시의 주 증상 및 주 호소
- 고등학생 때 따돌림을 당하기 시작해서부터 ‘넌 안 될 거야.’등의 부정적인 환청이 들리기 시작함.
2) 입원당시 촉발사건 :
- 한마음병원에서 진료 및 처방을 받던 중 환청으로 인해 늦은 밤에 뛰쳐나가 경찰에 의해 집으로 돌아온 사건이 있었음. 그 이후에 부모님의 강한 입원 권유가 있어 입원을 하게 됨.
3) 대상자 자신의 현재 주 호소 및 질병상태
- 대상자는 불안하고 걱정거리가 있을 때 환청이 들렸던 것 같다고 함.
- 최근 환청이 들린 적이 없음. (수개월), 만약 환청이 들려도 이제는 어차피 가짜인걸 알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다고 함.
- 정신병력 관련으로 고등학교 시절 과민성 대장염으로 정신과를 다닌 이력이 있음.
- 환시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나 작년 12월 기록 상 귀신과 같은 모습을 본다고 되어 있음.
2. 과거력
1) 첫 발병시기와 촉발요인 : 고등학교 1학년 때 친구들에게 따돌림을 당함. 친구들이 속닥거릴 때 본인을 욕하는 것처럼 보이고 환청이 처음 들렸음.
2) 정신과 입원력과 유병기간 : 17년 7월에 충남대학교 정신과에 입원을 처음으로 함. 첫 폐쇄병동 입원 시 불안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그 때 간호사님들이랑 당시 환자들과 얘기를 많이 하면서 나아진 것 같다고 함. 그 후 낮병동에서 치료를 받다가 18년 5월 밝은세상에 오게 되어 현재 치료 중. 다만 기록과의 차이가 있는데, 낮병동 입원 시 기능수준 저하, 음성증상 상승, 나타나지 않는 표정, 자발적 의지 저하, 입원 시 우울감과 집중저하 등의 기록이 있음.
3) 자살력, 내외과적 질병력 : 자살력은 해당 없으나, 과민성 대장염을 과거에 가지고 있었는데 현재는 증상이 없음. 현재는 고지혈증으로 인한 처방을 받고 있음.
4) 발병시기 별 치료행태 및 가족이나 개인의 대응양상 : 가족은 발병 초기부터 계속해서 본인의 지지체계가 되어주었고 바뀐 사항은 개인의 대응양상으로 초기에는 무서워서 혼자 있으려 했으나 현재에는 어차피 허구인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무시할 수 있음.
참고문헌
NANDA 간호진단
DRUG INFO - Efexor, Invega 의약품정보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9)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조현병 대상자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성간호학 실습 임신오조증 CASE (0) | 2022.11.24 |
---|---|
여성 실습 자궁근종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0) | 2022.11.23 |
여성간호학 자궁선근증 CASE STUDY & 자궁선근증 간호과정 & 자궁선근증 문헌고찰 (0) | 2022.11.21 |
COPD 케이스 (0) | 2022.11.21 |
성인간호학 CASE /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