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과 아동복지에 대한 정의,개념,의의,이념등에 대하여 정리하여 서술하시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서론
아동을 바라보는 시각은 여러 가지일 수 있는데 과거에는 아동을 어른의 소유물, 작은 어른으로 보았다면 20세기에 들어서는 아이들을 고유한 욕구와 존엄성을 가진 독립체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이들은 정신적, 신체적 미성숙함으로 인해 보호해야 할 대상이라는 측면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즉, 그들이 엄연히 국민으로서 더 나아가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권리를 보장해주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무엇이 필요하고 어떠한 환경을 만들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어른들이 주도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자기표명권을 행사할 수 없는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관심어린 행동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므로 아동과 아동복지에 대한 정의, 개념, 의의, 이념 등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본론
아동은 보는 관점에 따라 어른의 작은 형태, 꾸밈없는 천진난만한 존재 또는 생리적 충동과 욕구가 강한 존재로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지만, 아동에 관하여 사회적으로 합의된 일반적인 개념을 살펴보면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에 있는 사람을 아동이라고 부를 수 있다.
아동의 연령 구분의 기준은 법률의 규정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아동의 정의의 법률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아동의 정의는 “아동에게 적용되는 법에 의하여 보다 조기에 성인연력에 달하지 아니하는 한 18세 미만의 모든 사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아동복지법 제2조에서도 아동이라 함은 “18세 미만의 자”라고 규정하고 있다.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서도 아동이란 “18세 미만의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모·부자복지법에서도 아동이란 모 또는 부에 의해 양육되는 18세 미만의 자녀로 정의하고 있다.
아동과 관련된 개념으로 미성년, 소년, 청소년, 영유아 등의 연령은 관련법령의 목적과 취지에 따라 다소 다르게 규정되고 있다. 민법에서는 “만 20세 미만의 자”를 미성년이라고 하고 있고, 소년법에서는 “20세 미만의 자를 소년”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참고문헌
이재연, 황옥경 김효진. (2009). 아동과 권리. 아동학회지, 30(6), 153-165.
하승민. (1999). 한국의 아동복지 정책분석 - 아동상담을 중심으로 -. 한국생활과학회지, 8(3), 465-476.
김수진 (2005). 아동복지관련법제의 개선방안연구 - 아동의 안전과 보건을 중심으로 -. 한국법제연구원, 2005.11.30, https://www.klri.re.kr/kor/publication/491/view.do
김승권 (2000). 아동복지정책의 발전방향. 보건복지포럼, 2000.05,
https://www.kihasa.re.kr/publish/regular/hsw/search/view?seq=20648&volume=20174&searchText=%EC%95%84%EB%8F%99%EB%B3%B5%EC%A7%80%EC%A0%95%EC%B1%85%EC%9D%98%20%EB%B0%9C%EC%A0%84%EB%B0%A9%ED%96%A5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과 아동복지에 대한 정의,개념,의의,이념등에 대하여 정리하여 서술하시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에 대한 국가지원의 방향에 대한 새로운 방향제시와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0) | 2024.01.12 |
---|---|
사회복지정책의 분석에서 사회복지정책의 차원분석과 정책형성과정 분석 (0) | 2024.01.11 |
[아동복지론]아동복지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로서 아동발달이론 중 가장 적용하고 싶은 이론을 1개 선택하고, 선택 이유와 그 이론의 중요개념과 내용에 대해 설명하세요 (0) | 2023.12.26 |
사회복지정책론-사회투자국가란 (0) | 2023.12.26 |
아동기의 개념과 아동기 발달(신체, 인지, 언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고, 아동기 부모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0)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