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뇌동맥류”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Assessment
2. 진단검사
3. 자료요약
4. 문헌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뇌동맥류의 정의
• 뇌동맥류는 혈관이 구조적으로 약화되어 뇌동맥 벽에 이상이 초래된 것임
• 동맥벽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동맥 파열과 출혈이 발생함
• 대부분의 뇌동맥류는 주머니 모양이기 때문에 소낭상동맥류 (berry aneurysm)라고 함
• 크기는 2mm부터 30m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평균크기는 8mm에서 10mm 임
2) 뇌동맥류의 발생빈도
• 사체부검(autopsy)에서 뇌동맥류는 인구의 약 1%에서 발견됨
• 뇌동맥류 파열(aneurysm rupture)은 매년 인구 10만 명당 6~12명 비율로 발생됨
• 남녀 발생비율은 3대2 정도이며 40세 이전 연령에서는 남자(male)에 더 빈번하며 40세 이후 연령에서는 여자(female)이 더 빈번함
• 유전관계(inheritance) : 유전성 발병은 극히 드물며 다만 Ehlers-Danlos 증후군 같은 결체조직 질환에 관계되어 뇌동맥류가 더 빈번하다는 보고가 있음
• 연령(age): 동맥류 파열은 40~60세 사이 연령층에 비교적 흔하나 실제로는 어느 연령층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
3) 뇌동맥류의 발생기전
• 선천성(congenital)이론 : 한때는 혈관 분지 부에 혈관중막의 형성부전에 의해 동맥류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혈관중막의 형성부전은 두개내 혈관이외 동맥류가 드문 여러 두 개외 혈관들 및 소아 연령층의 혈관에서도 종종 발견되며, 주머니 모양의 동맥류는 두개외의 혈관부위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이와 같은 이론이 절대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동맥경화성(arteriosclerotic)이론 : 동맥경화에 의해 내탄성층의 결손이 진행되어 동맥류가 생성된다는 이론임
• 고혈압(hypertension)연관설 : 동맥류 파열환자의 반 이상에서 기존에 고혈압의 병력이 발견되므로 고혈압이 동맥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동맥류 형성은 대동맥교착증(coarctation of aorta)을 지닌 고혈압 환자에서 흔히 발견됨
4) 뇌동맥류의 임상증상
(1) 파열되지 않은 경우
• 뇌동맥류가 파열되기 전에는 어떤 증상도 나타나지 않음
참고문헌
기본간호학I,Ⅱ/서길희 외/수문사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성미혜 외/정문각
간호진단과 중재/서울대학교출판부
ACE건강사정/임난영 외/군자출판사
드러그 인포 http://www.druginfo.co.kr/
임상메뉴얼 제 7판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 at large편저 / 현문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뇌동맥류”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고환-고환염(Epididymis-Orchitis) 케이스 간호과정 (0) | 2023.12.15 |
---|---|
지역사회간호학 방문간호 케이스 스터디(급성 담낭염, 골절) (0) | 2023.12.15 |
여성건강 간호학 산욕기 case (0) | 2023.12.14 |
모성간호 케이스스터디. 자연분만. 양막파수. 간호진단 내리기 까지 (0) | 2023.12.11 |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1) | 202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