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여성건강 간호학 산욕기 case”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1) 분만의 단계와 산욕기
2) 분만 후 신체 내 변화
3) 분만 후 진단검사
4) 분만 후 간호
2. 간호 과정
1) 간호 사정
2) 약물
3) 간호진단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Ⅱ. 본론
1. 문헌고찰
1)분만의 단계와 산욕기
∙분만 1기
규칙적인 자궁의 수축이 시작되고 자궁경부의 완전한 개대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 세단계로 구분되어 볼 수 있다.
잠재기, 이 시기에는 규칙적인 자궁 수축이 일어나며, 초산부의 경우 평균 8.6시간의 자궁수축이 일어나며 2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 경산부의 경우, 5.3시간으로 자궁의 수축 시간이 14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 자궁 수축의 빈도와 기간, 강도가 증가하고 임부는 통증과 자기불안감을 호소한다.
<중 략>
■오로
오로(Lochia)는 자궁 내막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회복과정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다. 적색오로는 진한 붉은 색으로 출산 후 2~3일 정도 분비 되며 혈액, 탈락막 조각, 양수, 박테리아, 소량의 점액, 태변, 배냇 솜털, 태지 등을 포함한다. 장액성 오로란, 자궁내막 표면으로부터 혈액이 줄어들면서 색은 점점 붉은색에서 분홍빛, 갈색으로 변한 것이다. 이는 출산 후 4~10일 사이에 분비된다. 장액성오로는 혈액성분이 적고, 혈장성분이 대부분이며, 백혈구, 탈락막, 점액, 혈청등이 섞여있다. 백색오로란, 출산 후 10일 이후에 나오며, 크림색이다. 백혈구, 유기체, 상피세포, 점액, 박테리아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오로는 2주가 지나면 거의 사라지지만 6주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오로의 총량은 약 225mL이며, 양은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오로는 자고 있는 동안 배출되기 때문에 아침에 분비량이 많으며 경산모가 초산모 보다 오로의 양이 많다.
오로는 출혈의 유무 결정 및 자궁 퇴축을 평가하는데 필요하다. 오로의 유형, 양, 지속성은 태반부위의 치유상태를 결정한다. 적색오로의 지속적인 분비 또는 적색오로의 복귀는 자궁퇴축부전, 산후출혈을 나타낸다.
②자궁경부
출산 후 늘어져 있는 자궁경부는 연약하고 형태가 갖추어지지 않고, 작은 열상으로 인하여 감염의 위험성이 높다. 자궁경부는 출산 후 두 손가락크기 정도로 개대되어 있다. 이는 수일 내에 2~3cm정도로 좁아지고, 1주일 이내에 1cm정도로 줄어든다.
미산부의 오목한 모양의 경관이 자궁경부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옆으로 길쭉하고 살짝 벌려있는 물고기 입모양 모양으로 변화한다.
참고문헌
보건복지부 (2018 산후조리실태조사)
약학 정보원
Druginfo
간호과정 전산화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최영희, 이향련, 김혜숙, 박현경, 현문사)
제 10판 여성건강간호학 Ⅱ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수문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여성건강 간호학 산욕기 case”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 방문간호 케이스 스터디(급성 담낭염, 골절) (0) | 2023.12.15 |
---|---|
뇌동맥류 (0) | 2023.12.14 |
모성간호 케이스스터디. 자연분만. 양막파수. 간호진단 내리기 까지 (0) | 2023.12.11 |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1) | 2023.12.08 |
비호지킨림프종 케이스 스터디 (0) | 202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