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직무순환을 경험한 경력간호사가 지각하는 업무불확실성이 직무순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직무순환을 경험한 경력간호사가 지각하는 업무불확실성이 직무순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경력간호사
2. 직무순환 스트레스
3. 업무불확실성
4. 프로티언 경력(Protean Career)
5. Lazarus와 Folkman의 스트레스-대처-적응 이론
6.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7. Reference

 

본문내용일부

1. 경력간호사
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보건의료인력 중 간호사 인력의 구성비는 35%로 효율적인 의료기관의 경영에 있어 간호인력 관리는 중요한 요소이지만(Shin YS et al, 2018) 간호사의 이직률은 2018년 13.9%에서 2019년 15.4%로 더욱 증가하였다(Hospital Nurses Association (KR) 2018, 2019).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환자, 간호사, 조직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개인을 넘어서는 사회적인 문제로(NORTH et al, 2013; Roche et al, 2015) 정부에서는 간호인력 수급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학과 정원을 확대하고, 유휴간호사의 재취업 지원 사업을 통해 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시행하였으나 실효성은 높지 않았다(Lee GJ, 2015).
2020년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에 따르면 발령 후 1년 이내에 사직한 신규간호사는 3,627명이었으며 책임간호사 미만의 경력간호사 중 사직자는 4,339명으로 경력간호사의 사직 인원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Hospital Nurses Association (KR), 2019). 경력간호사는 병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최근에는 병원 간호 인력의 비숙련층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그 역할과 책임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Lee, J. 2019).
Jang (2000)은 간호사를 4단계의 임상 등급으로 나누었는데, 경력을 기준으로 초보자 단계(입사 후 1년까지), 상급초보자 단계(2~3년), 유능한 단계(4~6년), 숙련 단계(7년 이상)로 구분하였는데 상급단계인 유능한 단계와 숙련 단계의 간호사들은 일반적으로 직무순환을 경험하고 직무순환을 통해 새로운 업무를 경험함으로써 지식을 확장시키고 성장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S. S., Y. M., 2017). 하지만 원치 않는 부서 이동으로 새로운 부서에 대한 두려움, 적응의 어려움(S. S., Y. M., 2017), 소속감 결여로 인한 스트레스(Lee HN, 2017)를 경험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김인숙, 정민. (2017). 평생교육 종사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과 가족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6(1), 67-95.
박민정, 안성익. (2015). 도전적 ·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1260-1279.
박안나, 정경희, 김원경. (2016).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 및 간호업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22(1), 1-10.
백지영. "직무도전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서울
성완여. "조직 구성원이 인지한 직무환경 불확실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서울
소병한,송지훈,and 김지현. "프로티언 경력(Protean Career)의 통합적 개념모형 개발." HRD연구 21.2 (2019): 87-117.
이수진. (2005). 종합병원 간호사의 부서이동 스트레스와 대응 건강행위 조사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이은주, &유은광. (2017). 경력간호사의 원하지 않는 부서이동 경험.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37-48
이재봉, 진성미. (2012). 직업군인의 자기주도적 경력관리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 경력태도 관점의 한 미군 비교. 국방정책연구, 97, 145-173.
조인호, 조준석,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과 모호성의 차별성." 언론정보연구 49.1 (2012): 220-258. 불확실성과 모호성의 선행변인과 영향에 대하여
조지선, 2009., 임상간호사의 근무부서 이동태도와 직무만족 관련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Baruch, Y. (201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for protean career orient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5(19), 2702-2723
Beehr, T. A., & Newman, J. E. (1978).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facet analysis, model, and literature review 1. Personnel psychology, 31(4), 665-699.
Benner, P. (1982). From novice to expert. AJN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82(3), 402-407.
Benner, P. (1984). From novice to expert. Menlo P ark,
Cohen, F., & Lazarus, R. S. (1983). Coping and adaptation and health and illness. In D. Mechanic (Eds.), Handbook of health, health care, and the health profession. New York: The Free Press
Duncan, R. B. (1972).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s and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7(3), 313-327.
Folkman, S., & Lazarus, R.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pp. 150-153).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Hall, D. T. (1976). Careers in organizations. Pacific Palisades, CA: Goodyear Publishing.
Hall, D. T. (2002).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 Thousands, Oaks: Sage.
Han JH. Yoo EK. The Study of Preceptor Nurses Occupational Stress and Burden.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8; 26(1), 38-45. https://doi.org/10.17547/kjsr.2018.26.1.38
Hospital Nurses Association (KR). A survey on hospital nursing staffing (2018). Business report for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9.
Hospital Nurses Association (KR). A survey on hospital nursing staffing (2019). Business report for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20.
Huang, S., Lin, Y., Kao, C., Yang, H., Anne, Y., &Wang, C. (2016). Nursing J ob R otation S tress S 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13(1), 114-122.
Im JW, Lim JY. Influences of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20; 26(2), 130-141.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2.130
Jang KJ. Effects of Protean Career Attitude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by Mediating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Focusing on Workers in Domestic Small Education Sevice Companies [thesis]. Yonsei University; 2019. p. 1-111.
Jang KS. A Study on Estabi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p. 1-212.
Ko JH, Gu MO. Convergence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Clinic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20; 11(4), 369–380. https://doi.org/10.15207/JKCS.2020.11.4.369
Lazarus, R. S., & Cohen, J. B. (1977). Environmental stress. In Ⅰ. Altman and J. F. Wohlwill(Eds.), Human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Current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Plenum.
Lazarus. R. S. (1993b).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4, 1-21.
Lazarus &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Lee GJ, Hwang SW. Analysis of reemployment status of nurses participated in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2015;15(5):386-402.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5.386
Lee HN, Kim JM, Han JW. Impact of job rotation stress in nurs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hallenge assessment and hindranc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 18(10), 373-381. https://doi.org/10.5762/KAIS.2017.18.10.373
Lee, J., Kim, H., & Lim, S. (2019). An Integrative Review of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Intervention Programs for Experienc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8(2), 190-204.
Lee SJ, Kang MK, Kwon SH, Song KH, Lee JH, Choi JR, et al. A study on job stress between experienced versus new nurs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2002;6(1):89-99.).
NORTH, N., LEUNG, W., ASHTON, T., RASMUSSEN, E., HUGHES, F., FINLAYSON, M. (2013). Nurse turnover in new zealand: Costs and relationships with staffing practises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1(3), 419-428.
Putnam, L. L., & Sorenson, R. L. (1981). Equivocal messages in organization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8(2), 114-132.
Rabkin, J. C., & Struening, E. L. (1976). Life event, stress and illness.
Roche, M. A., Duffield, C. M., Homer, C., Buchan, J., Dimitrelis, S. (2015). The rate and cost of nurse turnover in Australia. Collegian, 22(4), 353-358.
Russo, M., Guo, L., & Baruch, Y. (2014). Work attitudes, career success and health: Evidence from China.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4(3), 248-258.
Shin YS, Yoon GJ, Kim SW, Lee NK, Lee JH, Kim JH, et a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survey on health workforce conditio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2018. Report No.: 11-1352000-002563-14
So BH, Kim JH, Song JH. Developing an Integrated Conceptual Model and Measurement for Protean Career.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 ce Development Quarterly. 2019; 21(2), 87-117.
S S. Y M. A Model for Predicting Career Satisfaction of Nurses Experiencing Ro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 47(4), 551-561. https://doi.org/10.4040/jkan.2017.47.4.551
Turner, R. J., & Avison, W. R. (1996). Innovations in the measurement of life stress: Crisis theory and the significance of event resolut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3, 36-5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직무순환을 경험한 경력간호사가 지각하는 업무불확실성이 직무순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