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연명의료결정법의 실질적 한계 및 개선방안 -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대상자의 모호성을 중심으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연명의료결정법의 실질적 한계 및 개선방안 -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대상자의 모호성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서론

II.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하여
1) 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정과 의의
2) 연명의료결정법의 내용

III. 연명의료결정법의 실질적 한계
1)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문제
2) 시행 대상자의 모호성에 대한 문제

IV. 결론: 연명의료결정법의 개선 방안
1) 프랑스 존엄사법에 대한 고찰
2) 연명의료결정법 개선방안 제시

 

본문내용일부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울 권리가 법적으로 보장된다. 때문에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는 법적으로 제재를 가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간의 자유권의 범위가 어디까지 인정될 수 있을까? 우리가 자유롭게 직업을 택하고, 자유롭게 먹고 싶은 음식을 택하고, 자유롭게 입고 싶은 옷을 택하는 것과 같이 자유롭게 죽음을 택할 수 있을까? 인류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꽤나 오랫동안 고민해왔다. 인간이 존엄할 권리, 인간이 자유로울 권리, 인간의 생명권 등 다양한 권리들이 서로 각자의 위치에서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한 절대 쉬이 결론이 날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세계 각국에서 조금씩 제정해오고 있는 ‘존엄사법’이 위 질문에 대한 답이라고 볼 수 있다. 비교적 존엄사가 빨리, 그리고 더 적극적으로 인정되었던 유럽의 몇몇 나라들과는 달리 대한민국은 존엄사 문제에 대해서 늘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해왔었다. 인간의 자유권보다 생명권을 더 우선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계의 흐름에 따라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소극적으로 존엄사를 인정한 ‘연명의료결정법’을 제정하게 되었다. 존엄사 문제에 대해 굉장히 보수적이던 우리나라조차도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지속적인 논의를 다방면으로 전개해왔고, 결론적으로 인간이 스스로 존엄한 죽음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법적으로’ 보장해주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명의료결정법은 인간의 죽음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수차례의 논의와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그 어떠한 법보다 신중하게 제정되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연명의료결정법은 인간의 존엄한 죽음을 완전하게 보장해주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제정된 지 얼마 되지 않은 현재의 법안은 의료현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해 실질적인 한계가 존재하는데, 아직까지 이러한 현실과의 괴리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법적인 문제가 아닌 사람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로서 해결이 시급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시행 대상자의 모호성을 중심으로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보려고 한다.

 

참고문헌

김명희,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21권 1호,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8.
김아사, 「1997년 ‘보라매 사건’ 이후 18년간 지속된 존엄사 논의」, 『조선일보』, 2015.05.20., , 2020.12.10.
김희윤, 「[그래픽] ‘존엄사’ 오늘부터 가능, 다른 나라는 어떻게 시행되나?」, 『아시아경제』, 2017.10.23., , 2020.12.17.
문희봉, 「‘웰다잉’ 이젠 국가가 나서야 한다」, 『미래세종일보』, 2020.01.16., , 2020.12.16.
반윤주, 「18년 2월 4일, 연명의료결정제도 본격 시행」, 2018.01.24., , 2020.12.10.
서울고법 2009. 2. 10. 선고 2008나116869 판결.
유은제,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한 달... 문제점 쏟아져」, 『한국 의약통신』, 2018.03.16., , 2020.12.10.
이기훈, 「연명의료 중단 40%는 가족 동의로 결정」, 『조선일보』, 2018.03.17., , 2020.12.16.
이병희, 「존엄사, 다른 나라에선? 네덜란드가 가장 먼저 허용」, 『조선일보』, 2015.05.20., , 2020.12.10.
이신이, 「프랑스 본인의 의사를 표시할 수 없는 환자에 대한 존엄사 결정-프랑스 헌재 2017년 6월 2일 제2017-632호 QPC 결정을 중심으로」, DICE-GERJC, Université d’Aix-Marseille 박사학위논문, 2018.
이승호,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인감법학』 제35권,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이지은,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프랑스 레오네티법 개정 논의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34집,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정종훈, 「여든 앞둔 배우도 사인.. 43만명 ‘좋은 죽음’ 미리 동의했다」, 『중앙일보』, 2019.11.24., , 2020.12.16.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연명의료결정법의 실질적 한계 및 개선방안 -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대상자의 모호성을 중심으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