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요로감염 케이스 스터디 / 통증, 낙상 위험성, 감염 위험성”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tm1LQ/btsy3RaTAxj/wriWUroSSAQabr32GoRlL0/img.png)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질환명: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
정의
: 요로감염은 신장에서부터 소변이 나오는 길에 감염이 있는 것으로 감염 부위에 따라 하부 요로 감염인 방광염, 요도염과 상부 요로 감염인 신우신염 등이 있습니다.
방광염 (Cystitis)
요로감염 중 가장 흔하다.
급성 방광염
– 요로계의 해부학적, 기능적 이상 없이 세균이 침입하여 발생한 감염으로 인해 염증이 방광 내에 국한되어 나타나고 다른 장기에는 염증이 없는 질환이다.
만성 방광염
– 통상적으로 1년에 3회 이상 방광염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하며, 지속적인 또는 완치되지 않은 방광염을 의미한다.
감염성 방광염 –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에 감염되어 발생한다.
비감염성 방광염 – 화학물질이나 방사선에 의해 생긴다.
간질성 방광염 – 원인불명의 염증이다.
요도염 (Urethritis) : 주로 성적인 관계로 인해 전파되는 요도의 염증성 질환이다.
신우신염 (Pyelonephritis)
- 신우와 신배의 염증이다.
- 급성 신우신염과 만성 신우신염으로 분류된다.
* 문헌조사 / 원인
병원감염의 31%는 요로감염이며, 요로감염의 가장 흔한 유발요인은 요로 카테터이다. 카테터 삽입 후 48시간 안에 세균성 집락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요로카테터를 지니고 있으면 하루에 3~10% 정도로 세균뇨의 빈도가 증가한다. 유치도뇨관을 지닌 대상자의 50%정도가 도뇨관 삽입 후 1주일 안에 감염이 생기기 시작한다.
심각한 면역장애로 저항력이 감소된 대상자, 스테로이드제나 면역억제제 투여 대상자, 당뇨병이나 AIDS 환자 등도 진균성 요로감염의 위험이 있다.
방광염 원인
: 급성 방광염의 일차적인 경로는 요도로부터의 상행 감염이며 여성에서 흔하다. 여성은 해부학적으로 요도가 짧고 장내세균이 회음부와 질 입구에 쉽게 증식하여 성생활이나 임신 시 세균이 용이하게 방광으로 상행성 감염(하부 기관에서 상부 기관으로의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참고문헌
성인 간호학 하 (조경숙, 김희경 외. 현문사 201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현문사 2014)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방광염, 요도염, 요로감염, 신우신염
기본간호학2 (양선희, 원종순 외. 현문사 2014)
기본간호학1,2 (양선희 외. 현문사 2017)
핵심기본간호수기 (양선희, 백운정 외 3명. 현문사 2016)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요로감염 케이스 스터디 / 통증, 낙상 위험성, 감염 위험성”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실습(일반병동) case study 간호진단 2개 (0) | 2023.10.24 |
---|---|
지주막하출혈 케이스, ICU실습 케이스 (0) | 2023.10.24 |
성인간호학3 icu실습 [지주막하출혈(SAH) 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0) | 2023.10.23 |
여성실습, 모성간호학 난소암 CASE 간호진단2개 + 간호과정2개 (0) | 2023.10.23 |
폐렴 케이스 11개 및 폐렴 관련 간호진단 모음 (0) | 202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