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반월상연골파열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반월상연골파열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투약, 진단검사 포함)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본문내용일부

문헌고찰
meniscus tear 반월상연골 파열

반월상 연골
해부
초승달 모양의 얇은 판 모양 연골.
대퇴융기와 경골융기사이에서 완충장치 역할을 하는 구조물.
- 내측 연골판 : 외측보다 반경이 큰 C 자 모양으로 되어 있고, 외측에 비해 외 력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외측 연골판 : 내측보다 크기가 작고 모양이 원형에 가까우며, 내측에 비해 유동성이 있다.
기능
① 체중부하(Load- bearing) : 압박을 안에서 바깥으로 전달해서 흡수한다.
② 충격흡수(Shock Absorption) : 보행 중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한다.
③ 안정성(Stability) : 정상적인 십자인대 기능을 유지할 때 2차 전방 안정성 구조물로서 적극적인 역할보다는 간접적으로 관여한다.
④ 형태(Congruity) : 평평한 형태의 경골 관절면 위에 존재하는 반월상연골로 인하여 원구형인 대퇴골 관절면을 받아드릴 수 있는 형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관절면은 완전한 접촉을 이룬다.
⑤ 윤활&영양(Joint Iubrication and Nutrition) : 활액낭은 마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관절연골과 반월상 연골의 영양 공급 기능도 한다.
⑥ 자기 수용 감각(Proprioception) : 자기 수용 감각은 자신의 신체 위치, 자세, 평형 및 움직임에 대한 감각기능이다. 반월상연골 변연부와 전각부, 후각부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특히 후각부에 많이 존재한다.
종류
종파열(Longitudinal tear)
반월상 연골 길이의 2/3까지 파열되고 파열된 부위가 슬관절의 중심부로 전위되면 슬관절 잠김 현상을 유발한다.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Bucket handle tear)
양쪽 경계 전체가 물통의 손잡이와 같이 완전히 떨어지면서 벌어지는 형태의 파열
피판 파열(Flap tear)
가장 빈도가 높은 파열 형태로 후방 1/3 경계 부위에서 주로 발생한다. 파열된 부위가 관절면에 끼게 되면 예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방사형 파열(Radial tear)
중앙에서 시작하여 주변부로 파열되는 형태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1,2/수문사/2019
약학정보원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반월상연골파열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