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환경호르몬 보고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환경호르몬 보고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 문제제기

2. 본론
2.1. 내분비계 장애물질
2.2.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국내 규제
2.3.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국내 규제 발전방향
2.3.1. 미국의 EDSP
2.3.2. 유럽의 REACH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2011년 5월 8일부터 한 달간 원인 미상의 폐 질환 증상으로 5명의 임산부 환자들이 입원했다. 입원 환자 중 한 임산부가 뇌출혈 증상을 보이며 사망했고 이후로도 계속 사망자가 발생하며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되었다. 역학 조사 결과 환경 호르몬으로 알려진 가습기 살균제 속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olyhexamethylene guanidine)과 염화올리고에톡시에틸구아니딘(Olgo(2ethoxy)ethoxyethyl guanidine chloride)이 폐질환의 원인임이 밝혀졌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대중들에게 생활 용품에서의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공포와 불안을 유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까지 추정된 가습기 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사망자는 약 2만명, 건강 피해자는 약 95만명이다.
일반인에게는 ‘환경 호르몬’이라고 알려진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신체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는 물질이 아닌 산업 활동을 통해 생성되고 분비되어 내분비계에 교란을 일으킬 수 있는 화학물질을 일컫는다. 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노출된다. 아침에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이 들어간 “샴푸”로 머리를 감고, 트리클로산(Triclosan)이 들어간 “치약”으로 이를 닦고 나와 커피 한 잔을 사고 비스페놀 A(Bisphenol A)가 첨가된 “영수증”을 받는다. 이처럼 건강보다는 편리함에 맞춰 만들어진 일상 속 합성 화학물질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인체에 축적되고 잘 분해되지 않아 수 세대에 거쳐 인간에게 위험을 준다.
그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위험은 생식기능 저하이다. 플라스틱과 식료품의 캔 등에 주로 쓰이는 비스페놀 A(Bisphenol A)는 정자의 수를 감소시키고 운동능력을 떨어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향수에 첨가되는 프탈레이트는(Phtalates) 성조숙증과 조기 사춘기를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영향은 인간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생태계 속 야생 생물의 생식과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문헌

이카타 요시토, 이동수 옮김, 『환경 호르몬』, 아카데미 서적, 2008.
이동영,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분석 결과와 시사점」, 국회입법조사처, 2022.3.18.
Bibbo, M., Haenszel, W. M., Wied, G. L., Hubby, M., & Herbst, A. L, A twenty-five-year follow-up study of women exposed to diethylstilbestrol during pregnancy(Vol.298No14),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78, 763-767.
Cariati, F., D’Uonno, N., Borrillo, F., Iervolino, S., Galdiero, G., & Tomaiuolo, R, Bisphenol a: an emerging threat to male fertility(Vol.17No1), Reproductive Biology and Endocrinology, 2019, 1-8.
Chakraborty, T. R., Alicea, E., & Chakraborty, S, Relationships between urinary biomarkers of phytoestrogens, phthalates, phenols, and pubertal stages in girls(Vol3). Adolescent health, medicine and therapeutics, 2012, 17-26.
Duty, S. M., Singh, N. P., Silva, M. J., Barr, D. B., Brock, J. W., Ryan, L., ... & Hauser, R,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exposures to phthalates and DNA damage in human sperm using the neutral comet assay(Vol.111No9),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03, 1164-1169.
강창근 외, 「내분비계 장애물질」 『대한의사협회지』(제50권4호), 2007, 359-368.
김은주, 「환경법상 리스크 관리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제36권3호), 『환경법연구』, 2014, 33-61.
김형섭, 「EU 및 독일의 환경호르몬물질 규제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REACH 명령의 규율을 중심으로」(제28권 제1집), 『한양법학』, 2017.2, 87-118.
이호용, 「내분비교란물질(환경호르몬)의 위협과 법적 대응」(제67권4호). 『법조』, 2018.8, 37-78.
이호용. 「미국의 내분비교란물질 규제제도로서 내분비교란물질선별제도 (EDSP) 연구」(제28권 제1집), 『한양법학』, 2017.2, 147-181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제24조 1항>, ≪환경부≫, 2021.4.13., https://www.law.go.kr/%EB%B2%95%EB%A0%B9/%ED%99%94%ED%95%99%EB%AC%BC%EC%A7%88%EC%9D%98%EB%93%B1%EB%A1%9D%EB%B0%8F%ED%8F%89%EA%B0%80%EB%93%B1%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 2022.10.20.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0조>, ≪환경부≫, 2021.5.18.,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83%9D%ED%99%9C%ED%99%94%ED%95
%99%EC%A0%9C%ED%92%88%EB%B0%8F%EC%82%B4%EC%83%9D%EB%AC%BC%EC%A0%9C%EC%9D%98%EC%95%88%EC%A0%84%EA%B4%80%EB%A6%AC%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 2022.10.2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환경호르몬 보고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