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이론연구 및 기여한 부분과 한계점 분석”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개념소개
2. 피아제 인지발달단계 분석
(1) 감각 운동기
(2) 전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3. 콜버그 인지발달이론과의 비교
4.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이 기여한 부분
5. 한계점 분석
6. 아동교육에 있어서 시사점
7.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개념소개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이 자신의 세계를 어떻게 알게 되는가?’라는 질문에 초점을 두어 인지적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이론이다.
피아제는 아동의 도덕적 판단은 6세 이전까지의 전도덕적 단계에서 출발하여 6~10세의 타율적 도덕성과 10, 11세 이후부터 성인기까지의 자율적 도덕성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하였다.
2. 피아제 인지발달단계 분석
(1) 감각 운동기
사람의 출생이후 약 2세까지의 단계를 감각 운동기라 한다. 이 시기의 영아들은 기본적으로 감각을 통해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한다. 따라서 영아들에게는 감각적으로 경험되는 것이 곧 ‘존재하는 것’이다.
영아들은 출생 직후에 반사적으로 엄마의 젖을 빠는 행위로부터 시작하여 단순반복 행동, 복수 도식의 협응 등을 거쳐 18개월경에 이르면 자신이 접하는 상황에 대해 사고하기 시작한다. 즉, 영아가 문제 상황에 놓였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보적인 지적 행동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영아가 주위의 직접적인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되었음을 뜻한다. 피아제는 이러한 행동적 수준의 지능을 감각적 지능이라 부르며, 이것이 후에 발달하는 개념적 지능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한다.
감각 운동기 동안에 이루어지는 중요한 인지발달은 대상 영속성의 개념을 들 수있다. 대상 영속성이란 모든 사물은 자신과는 별개의 실체로써 직접 보거나 만질수 없는 경우에도 공간 내의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음을 아는 능력으로 7-8개월경에 비로소 형성되기 시작한다.
(2) 전조작기
약 2세부터 7세까지의 인지발달 단계를 전조작기라 한다. 이시기의 아동들은 아직 개념적인 조작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는 않지만, 정신적 표상에 의한 사고가 가능해진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언어사용 능력이 급속히 발달하고 상상력이 풍부해져서, 가상적 놀이 및 상징화 활동이 증가한다. 그러나 아직 판단의 직관성이나 보존 능력 및 가역능력 등이 부족하고, 모든 사고가 자아 중심성을 벗어나지 못하며, 물활론적 사고에 의해 지배받는다.
참고문헌
알프레드 아들러,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
강태훈 , 교육심리학의 이해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이론연구 및 기여한 부분과 한계점 분석”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모레퍼시픽 기업분석/ SWOT, 마케팅 전략/향후 방향 (0) | 2023.10.18 |
---|---|
SNS시대에 태권도장 홍보 전략 방안 (0) | 2023.10.17 |
코로나 블루 정의, 국내외 해결방안, 개인적인 해결방안 (0) | 2023.10.17 |
장애인인권 사례분석과 나의생각정리 및 장애인인권 문제 발생원인과 해결방안 제시 (0) | 2023.10.17 |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0)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