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코로나 블루 정의, 국내외 해결방안, 개인적인 해결방안”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1dD9/btsyD6MA5Jm/5FJBlVOMwRBgeWexlGHCKK/img.png)
목차
Ⅰ. 코로나 블루의 정의
1. 용어 정의
2. 코로나 블루 상황
Ⅱ. 코로나 블루 해결 정책
1. 우리나라의 정책
2. 외국의 정책
3. 시사점
Ⅲ. 코로나 블루 해결 방법
1. 심리방역
1-1. 생애주기별 대상자
1-2. 사회적 취약계층
Ⅳ. 출처
본문내용일부
① 용어 정의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후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19)으로 인해 전 세계는 팬데믹 상황에 직면했다.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2차 대공황으로 불릴 만큼 전 세계적인 경제적·사회적 혼란은 가중되었으며, 장기간 일상 생활의 단절로 인해 세계 전체가 활력을 잃어가게 되었다. 특히, 장기화된 코로나 국면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정신건강의 문제를 호소하였는데, 이때 탄생한 신조어가 바로 코로나 블루이다.
코로나 블루는 코로나 19와 우울한 기분을 뜻하는 blues가 합쳐진 신조어로,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급격한 일상 생활의 변화를 겪는 개인이 경험하는 우울감, 고립감, 위축 등을뜻한다. 이러한 코로나 블루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격리로 인한 사회와의 단절, 질병에 대한 불안감, 산업 역동성 저하로 인한 소득 감소 및 실직, 돌봄체계 마비로 인한 돌봄 부담 등의 증상과 함께 호소되고 있다. 격리로 인한 답답함, 민간요법에 대한 맹신, 경력 단절로 인한 무기력증, 타인에 대한 경계심 증가 등도 코로나 블루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② 코로나 블루 상황
경기연구원(2021)의 ‘코로나19 팬데믹 1년 경과, 멘탈데믹 경고!’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민 절반 이상(55.8%)이 코로나로 인한 불안·우울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에 진행한 조사 결과(47.5%)보다 나빠진 수치이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심각했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우울증과 불안장애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에 의하면 지난 5년간 우울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총 436만에 달하며, 그 수는 점점 증가하여 2016년 64만에서 2020년 83만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1년에 상반기에만 66만을 웃도는 수의 환자가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은 것이 조사됐다.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상담 건수 역시 크게 늘어, 2019년 87만건이던 일반 상담 건수는 2021년 상반기에만 101만건을 기록했다.
참고문헌
사혜지, 이원상, 이봉규. (2021). 코로나 블루와 여가 활동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22(2), 109-121.
임유하. (2021). 빅데이터를 통해 본 ‘코로나 블루’에 대한 이슈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2), 2021.5, 829-852(24 pages)
최승호. (2021). 독일의 코로나 블루와 심리방역. 한국자치학회월간 공공정책공공정책 Vol.186 66 - 69(4 pages)
이은환, 김욱. 2021. "코로나19 팬데믹 1년 경과, 멘탈데믹[정신건강 팬데믹] 경고!“
노성향. (2020). “코로나19 대응 영유아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재난극복 심리방역” 토론문. 열린부모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24(0), 55-57.
보건복지부. (2020). 제2차정신건강복지기본계획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코로나 블루 정의, 국내외 해결방안, 개인적인 해결방안”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S시대에 태권도장 홍보 전략 방안 (0) | 2023.10.17 |
---|---|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이론연구 및 기여한 부분과 한계점 분석 (0) | 2023.10.17 |
장애인인권 사례분석과 나의생각정리 및 장애인인권 문제 발생원인과 해결방안 제시 (0) | 2023.10.17 |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0) | 2023.10.16 |
게임 중독 논쟁이 나오게 된 이유_게임에 대한 문화적 담론을 중심으로 (0) | 2023.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