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급성 폐쇄성 후두염, 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 (croup disease, 크룹병) 케이스 스터디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 급성 폐쇄성 후두염, 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 (croup disease, 크룹병) 케이스 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분류에 따른 증상과 빈도
5. 진단검사
6. 예후
7. 의학적 치료
8. 간호

Ⅲ. 본론
1. 간호정보 조사지(간호력)
1) 일반적 정보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3) 건강과 관련된 정보
2. 신체검진 결과
3. 활력징후 및 임상검사 소견
1) 혈액검사
2) 소변검사
3) 영상검사
4) 기타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Ⅳ. 결론 및 실습 소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 론
소아의 호흡기계는 성인보다 민감하고 아직 자라고 있는 미숙한 기관으로 호흡기계 장애는 아동에게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실제 아동 병동에서 실습하면서 가장 많이 접한 case도 pneumonia 등과 같은 호흡기계 질환이다. 따라서 아동의 경우에서 기도 폐쇄나 호흡부전이 더 자주 발생하며 나이가 어리면 어릴수록 기관의 미숙한 정도가 현저하기 때문에 사소한 병적 상태에서도 성인에 비해 심한 증상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아동기 호흡기 질환으로 Croup병을 뽑을 수 있는데, Croup은 다른 말로 ‘급성 폐쇄성 후두염’으로 불리며, 호흡기계 장애 중 후두를 포함한 기관, 기관지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주로 1~3세 아동에게서 호발한다. 주원인은 세균 혹은 바이러스 감염이다. 또한 급성 폐쇄성후두염은 parainfluenza virus의 감염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흔하며 경증이다.
Croup은 감기와 비슷하여 치료시기가 늦으지는 경우가 잦다. 때문에 환아의 간호 접근방법에 있어 다른 호흡기계 문제의 간호와의 공통점과 다른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Croup은 후두의 부종 혹은 폐쇄로 인해 쉰 목소리, ‘개 짖는 듯한’소리 혹은 ‘쇠소리’(질식성 호흡곤란), 흡기 시의 천명음 호흡곤란으로 묘사되는 공명성 기침이 특징인 증상군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Croup은 후두의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 되는데, 후두의 기도 직경이 줄어들면 이의 4배로 기도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점막의 부종이나 염증으로 인한 경한 기도 단면적 감소로도 호흡곤란을 야기할 수 있다.
후두의 급성감염은 영아와 어린 아동에서 발생률이 높고, 아동은 기도 직경이 좁아서 염증에 의한 폐쇄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Virus croup의 경우 호발 연령은 3개월에서 5세 사이이다.
심지어 Croup syndrome은 후두, 기관 및 기관지에 영향을 주며, 후두염증이 목소리와 호흡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더 중요하다.

 

참고문헌

KIMS의학정보센터 -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OKNLSPD0AXP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2362
킴스 약학사전 - http://www.kimsonline.co.kr/index.aspx
대한소아청소년학회 – https://www.pediatrics.or.kr/
서울대학교 진단검사의학과 - http://snuhlab.org/checkup/check_view.aspx?no=1898
김영혜 외(2018년), 아동간호학각론, 현문사, 221-228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 급성 폐쇄성 후두염, 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 (croup disease, 크룹병) 케이스 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