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이상심리학 신체형 장애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이상심리학 신체형 장애”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시작하면서

Ⅱ. DSM-IV와 신체형장애
1. DSM-IV의 신체형장애 분류
2. 각 장애에 따른 DSM-IV의 구성

Ⅲ. 신체형 장애의 증상, 원인과 치료
1. 신체화 장애
2. 감별불능 신체형 장애
3. 전환 장애
4. 동통 장애
5. 건강 염려증
6. 신체기형 장애
7. 달리 분류되지 않은 신체형 장애

Ⅳ. 마치면서

Ⅴ. 참고자료

 

본문내용일부

I. 시작하면서
신체형 장애의 원어인 Somatoform Disorder에서 soma란 “신체”를 뜻한다. 신체형 장애란 신체 질환을 시사하는 증상이 나타나지만, 실제는 기질적 병리가 없고 심리적 갈등이나 요인에 의해 야기되었다고 판단되는 일련의 정신장애를 말한다. 즉, 심리적 장애가 신체적인 형태를 취한 것이다.
신체형 장애의 공통적 특징은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를 시사하는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서(신체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 이 신체 증상은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나 물질의 직접적인 효과, 다른 정신장애(공황장애) 등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 증상은 항상 사회적, 직업적, 또는 기타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일으킨다. 허위성 장애나 꾀병1)과는 달리 신체적 증상이 의도적(예: 수의적으로 조절하는)이지는 않다. 신체형 장애는 신체 증상을 충분히 설명해 줄 수 있는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를 진단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의학적 상태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과는 다르다.
이전의 DSM 진단기준에 의하면 신체형 장애와 해리장애는 불안장애와 관련된 장애이다. 그 이유는 불안이 이러한 장애들의 기저에 깔린 가장 핵심적인 요인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DSM-Ⅲ에서부터는, 특정한 이론(presumed etiology)보다는 관찰 가능한 행동을 토대로 각 장애가 분류되었다. 불안장애에서는 불안증세가 뚜렷이 관찰되지만 신체형 장애나 해리장애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II. DSM-IV와 신체형장애
1. DSM-IV의 신체형장애 분류
신체형장애
300.81 신체화 장애
300.81 감별 불능 신체형 장애
300.11 전환장애
운동 증상 또는 결함이 있는 것
감각 증상 또는 결함이 있는 것
경련 또는 발작이 있는 것
혼재증상이 있는 것
307.XX 동통장애
.80 심리적 요인과 연관되는 동통장애
.89 심리적 요인과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가
동시에 연관되는 동통장애
급성
만성
300.72 건강염려증
병식의 부족
300.7 신체변형장애
300.81 달리 분류되지 않는 신체형 장애

 

참고문헌

이상심리학(1999), Davison & Neale. 이봉건 역, 서울 : 시그마프레스
이상심리학(2000), 최정윤 외, 서울 : 학지사
이상심리학(2001), Sarason & Sarason. 김은정 외 역, 서울 : 학지사, 2001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DSM-IV)』(1995), 미국정신의학회, 이근후 외 역, 하나의학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이상심리학 신체형 장애”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