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실습

뇌출혈(SDH)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성인간호학, ICU실습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뇌출혈(SDH)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성인간호학, ICU실습”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신체사정
3. 임상검사
4. 투약

Ⅲ.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문헌고찰
▶ 경막하출혈(Subdural hemorrhage, SDH)
1. 정의
경막하출혈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dura)이라는 막의 안쪽에서 뇌 표면의 혈관이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이 외상에 의해 파열되어 다량의 급성 출혈이 발생하여 뇌와 경막 사의의 경막하공간(subdural space)에 피가 고여 뇌를 압박하는 상태로서, 흔히 뇌 실질의 좌상(타박상)과 파열, 뇌내출혈을 동반한다.
경막하혈종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나, 활동량이 많은 30~40대에서 비교적 많으며, 일반적으로 경막외혈종 환자들보다 나이가 많으며, 남자의 발생 비율이 높다.
경막하혈종은 급성, 아급성 및 만성의 3단계로 분류하며, 뇌 CT소견으로 분류할때는 혈종이 blood clot일 경우는 급성, clotted blood와 fluid의 혼합 형태를 보일 경우는 아급성, 그리고 fluid의 형태를 보일 경우는 만성으로 분류한다.

• 급성 경막하혈종 : 수상부터 72시간 이내
• 아급성 경막하혈종 : 수상 후 3~21일 사이
• 만성 경막하혈종 : 수상 후 3주 이상

2. 병태생리
대부분의 경우 경막하혈종은 교정맥(bridging vein)의 파열에 의한다. 교정맥은 대뇌 피질부에서 뇌지주막강(subarchnoid space) 및 뇌경막하강(subdural space)을 거쳐 정맥동으로 유입되는데, 뇌지주막하강 내에서는 archnoid trabeculae 지주막에 의하여 지지를 받는 반면 경막하강 내에서는 이러한 지지가 없어 상대적으로 약하기에 뇌지주막강보다는 뇌경막하강 내에서 파열하면서 경막하혈종을 형성하게 된다. 혈종은 정맥 또는 동맥에서 기원할 수 있으며, 대뇌피질과 정맥동 사이의 교정맥(bridging vein)이 파열되면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3. 원인
원인은 대부분 두부 외상에 기인하나,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경우, 혈액질환 환자, 뇌수두증에 대한 단락술을 시행한 경우, 뇌지주막 낭종(arachnoid cyst)이 있는 경우 등에서는 외상이 없거나 아주 경미한 외상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2019), 『제9판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외(2019), 『제9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박금주 외(2019),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8),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intro.do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www.amc.seoul.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대한신경외과학회(2012), 『신경외과학』, 대한신경외과학회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뇌출혈(SDH)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성인간호학, ICU실습”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