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우리나라 지역패권주의의 역사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우리나라 지역패권주의의 역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연 구 목 적
2. 연 구 주 제
3. 연 구 방 법 과 자 료
4. 서 론
5. 본 론
6. 결 론
7. 참고문헌 및 도서목록

 

본문내용일부

연 구 목 적

우리나라에서 총선하면 나에게 먼저 떠오르는 것은 이른바 3김이라고 일컬어지는 각 지역의 대표적 정치인들에게 각 지역의 주민들이 몰표를 몰아주어 안 그래도 조그만 나라가 여러 개의 퍼즐 조각처럼 나뉘어 지는 선거결과표이다. 이번 선거에서도 물론 정도는 완화 되어가고 있다고는 하나 여전히 이 현상은 아직도 사라지고 있지 않고 있다. 선거의 쟁점이 공약이나 정치적 공방, 경제적 문제가 아닌 출신지역이 되는 것이다. 국가의 일꾼을 뽑는 선거가 합리적인 잣대에 의해서가 아니라 비합리적인 요소에 의해 치루어진다면 엄청난 국가적 손해가 아닐 수 없다. 이 지역주의에 의한 선거는 우리 역사에서 반드시 사라져야한다. 그러기에 이런 선거풍토, 통치풍토를 가능하게 한 지역패권주의를 이 연구서에서 이것의 개념과 근원을 파악하고 모순과 허구성을 지적함으로써 사회통합을 해치는 지역패권주의를 완화 시켜 보고자 하는 의도로 연구서를 작성했다.

연 구 주 제

물론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한 국가 내에 종족 분쟁이 끊이지 않고(미얀마, 르완다, 코소보사태 ) 종족 분쟁은 아니더라도 역사적인 배경의 이질화, 경제적 배경 등으로 지역간의 정치적 분쟁을 겪고 있는 선진국도 여전히 있다.(영국, 독일.이탈리아...) 허나 우리나라 같은 단일 민족국가에서 지역패권주의가 생겨난 이유는 위에 열거한 국가와는 다르다고 생각 했고, 이에 대한 뿌리가 통일신라시대였다는 주장이 상당히 설득력이 있어 보여서 통일 신라 시대를 일단 우리나라 지역패권주의의 시초로 파악하였고 현재까지 남아있는 지역패권주의의 직접적 원인이라 할 수 있는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대통령 시절의 군부 독재의 지역 패권주의를 가장 강력하고 피폐한 지역패권주의의 전형으로 파악해서 이를 사례와 역사적 자료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지역패권주의를 역사적으로 고찰해 봤고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지역패권주의의 생성 배경, 특징, 성격, 통치도구, 역기능, 모순 등을 알아보았다. 또한 신라시대와 군부정권시대의 지역패권주의의 차이와 공통점을 비교, 연구 해 보았다.

 

참고문헌

지역패권주의의 연구 남영신, 학민사 1992
정권교체로 가는길: 지역 패권주의 사례연구 최재승, 한내 1997
지역주의 선거와 합리적 유권자 조기숙, 나남 2000
통일신라=첫번째 통일 새로운 나라 국립중앙박물관 2003
통일신라의 대외 관계와 사상 연구 백산학회 2000
나말여초 정치제도사 연구 황선영 국학자료원 2002
고려사김부식 박시형, 홍희유 옮김 신서원 1991
통일신라시대의 지방세력 연구 최근영 신서원1993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우리나라 지역패권주의의 역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