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실습

아동간호학 실습 황달 사례보고서 (진단 2개, 과정 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 실습 황달 사례보고서 (진단 2개, 과정 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문헌고찰
2. 대상자의 자료수집 요약
3. 검사와 진단
4. 투약
5. 간호과정

III 결론 및 제언
1.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낸 점

Ⅳ 참고문헌 17

 

본문내용일부

1. 서론
우리 체내의 간은 철분을 저장하고 탄수화물 대사, 빌리루빈 결합, 혈액 응고 등의 기능을 하고 있다. 신생아는 아직 간의 기능이 미성숙한 상태이기 때문에 빌리루빈 결합이 어렵다. 또한 평균적으로 순환하는 적혈구의 농도가 높고 적혈구의 생존기간이 짧기 때문에 성인보다 2배의 빌리루빈을 생산한다. 더구나 알부민 농도가 낮아 빌리루빈과 결합할 수 있는 혈장결합력도 감소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신생아의 황달은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서 흔히 발견된다.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생리적 황달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다른 질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병리적 황달의 경우 심각한 신경계 합병증을 불러올 수 있다. 최근 많은 신생아의 조기 퇴원이 많아지면서 심한 신생아 황달을 발견하기 힘들어 졌으며, 광선치료를 위하여 재입원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신생아 황달의 조기발견과 퇴원 후 경과관찰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생리적 황달과 병리적 황달을 명확히 구별하고 조기에 치료함으로써 합병증과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보고자 본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황달
정의
• 혈액 내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한 것으로 피부, 공막, 손톱 등이 노랗게 변하는 것
병태
생리
• 빌리루빈은 적혈구의 파괴로 인해 생기는 헤모글로빈의 분해산물 중 하나
• 헤모글로빈은 heme(헴)와 globin(글로빈)으로 분리되는데, heme은 알부민과 결합되어 비결합형(간접) 빌리루빈으로 전환
• 비결합형 빌리루빈은 간에서 글루쿠론산 전이효소의 작용으로 알부민과 분리되고 글루쿠론산과 결합하여 결합형(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된 후 담즙으로 배설
• 이는 장에서 박테리아의 작용으로 인해 우로빌리노겐으로 변형되어 대변의 특징적인 색을 나타냄
• 변형된 빌리루빈은 대부분 대변을 통해 배출되고 소량이 소변으로 배설
• 이 과정에 어떤 문제로 균형이 깨지면 빌리루빈은 조직에 축적되고, 그 결과 황달이 발생

 

참고문헌

김영혜 외. (2018).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360-372.
이상락. (2006). 신생아 황달.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9(1). 6-11.
이철. (2002). 신생아 황달. 녹십자의보, 30(4), 196-200.
건강진단에서 시행하는 혈액검사들에 대한 안내 https://www.kslm.org/sub01/sub05_4.html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 실습 황달 사례보고서 (진단 2개, 과정 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