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직장암)-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대상자 교육자료 포함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직장암)-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대상자 교육자료 포함”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2. 직장암에 대한 통계적 자료

Ⅱ. 본론
1. 문헌 고찰: 정의, 병태생리, 진단과 검사, 치료, 간호
2. 환자 정보
3. 진단검사
4. 투약
5. 간호 과정
6. 대상자 교육 자료

Ⅲ. 결론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실습하는 동안 병동을 라운딩하면서 항상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직장암 환자를 보
게 되었다. 이 환자는 작년 6월에 직장암 진단을 받고 현재까지 항암치료를 받으시
는 분으로 복부, 전신에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시는 것을 보고 직장암이라는 병에
대해 알아보고 싶어서 대상자로 정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
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직장암에 대해 자세히 조사하고 나중에 만나게 될
직장암 환자를 더 세심하게 간호하기 위함이다.
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적 자료
2020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8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43,837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대장암(C18~C20)은 남녀를 합쳐
27,909건으로 전체의 11.4%로 4위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조(粗)발생률(해당
관찰 기간 중 대상 인구 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환자 수. 조사망률도 산출 기준이
동일)은 54.4건으로 그 중 직장암(C19~C20)은 남녀를 합쳐 11,441건으로 전체의
4.7%를 차지했다. 남녀의 성비는 1.8 : 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다. 발생 건수는
남자가 7,292건, 여자는 4,149건이었고 남녀를 합쳐서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26.0%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3.3%, 70대가 22.8%의 순이었다.

Ⅱ. 본론
1. 문헌 고찰
1) 정의
직장에 생기는 악성종양
2) 병태생리
대부분의 직장암은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하여 악성이 됨에 따라 장 내에서 크기가
커지고 장벽을 침윤하여 림프계나 순환계로 퍼지기 시작한다. 용종이 악성화되는
것은 크기, 조직학적 형태 및 이형성의 정도와 관련이 있는데 용종이 악성으로 변
이되기까지는 5~12년이 걸린다. 종양은 주로 간으로 침범하는데 그 이유는 결장직장 종양으로부터의 정맥혈류가
문맥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악성종양은 위장에서부터 가로결장까지 인접해 있는 기
관에 직접 침범함으로써 간으로는 림프와 혈액을 통해서, 복강 내로는 암세포가 직
접 퍼지거나 또는 이식되어 침범한다. 방광이나 요관, 생식기관 또는 직접 침범되고
방광과 장 사이 혹은 장과 질 사이에도 누공이 생기며 혈액을 통하여 폐, 콩팥 및
뼈까지 전이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이동숙 외(2019) 간호 과정과 비판적 사고_포널스(2019)
윤은자 외(2019) 성인 간호학 1_수문사(2019)
신미자 외(2020) 알기 쉬운 병리학, 현문사
국가암정보센터 암 정보 https://www.cancer.go.kr/
서울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서울아산병원 질환 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약학 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직장암)-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대상자 교육자료 포함”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